서울교육청 `학습부진아 이력제' 내년 전면 시행
이력 밀착관리…맞춤형 교육으로 학업부진 구제

학습부진학생의 이력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9년간 추적ㆍ관리하는 학습부진아 이력제가 서울에서 도입돼 내년에 전면 시행된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습부진학생을 찾고자 초등학교 3,4,5학년을 대상으로 매년 3월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치러 왔지만, 앞으로는 진단평가를 치르지 않는 1,2,6학년도 담임 재량으로 학습부진학생을 선정해 관리키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선행학습 등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학업성취도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실에서 학습부진학생을 조기에 찾아 개인별 맞춤교육을 통해 구제하려는 조치다.

학습부진학생 이력관리카드도 양식을 통일하고 초ㆍ중학교에서 공통으로 활용키로 했다.

그동안 학교별로 양식이 다르고 중학교에는 초등학교 시절의 자료가 전달되지 않아 전학 및 진학 때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구제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 이력관리카드에는 학생의 인적사항과 가정환경, 지능지수, 질병 등 학습부진의 원인, 과목별 진단평가 및 분기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등이 담긴다.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해당 학생에 대해 담임책임지도와 대학생보조교사, 진로공부캠프, 방과후 부진학생 지도 프로그램 등 맞춤형 지도를 하고 어떤 성과를 올렸는지도 적게 했다.

연말에는 해당 학생의 학업부진 구제 여부를 최종 판단해 이듬해 담임이나 상급학교에 전달해 관리케 했다.

오효숙 서울교육청 초등교육정책과장은 "교과 수준이 학년별로 매해 달라 전년도에 구제돼도 이듬해 또 학업이 부진해지는 사례가 많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학습부진학생의 이력을 꾸준히 추적해 밀착 관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 과장은 "이번 조치는 곽노현 교육감의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 정책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시교육청은 내달부터 각 지역교육지원청 산하의 거점학교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 이력제를 시범 운영하고 내년 1학기부터 서울의 모든 초·중학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hwang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