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아일랜드 국내총생산(GDP)이 올 2분기에 1.2% 위축된 것으로 나타나 한동안 잠잠했던 유럽 재정위기가 재발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AP통신 등 주요 외신들은 24일 “아일랜드의 2분기 GDP가 1분기에 비해 1.2% 감소했다”고 보도했다.당초 아일랜드 GDP는 2분기에 0.5% 증가할 것으로 점쳐졌으나 마이너스 성장이란 부진한 성적표를 얻었다.아일랜드 통계청은 1분기 GDP 증가율도 기존 2.7%에서 2.2%로 하향 조정했다.

이번 발표로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선 아일랜드 경제 및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확산됐다.지난해 말부터 올 초 글로벌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했던 그리스발 재정적자 위기가 ‘PIGS(포르투갈 아일랜드·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국가’로 번질 것이란 ‘전염’우려도 재연됐다.아일랜드의 지난해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14.3% 였고,정부 부채 규모도 GDP의 64%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10년물 아일랜드 국채와 독일 국채간 수익률 격차는 최근 10년 사이에 최대 규모로 벌어졌다.아일랜드 국채는 이날 독일 국채에 비해 4.25%포인트 높게 거래됐다.국가의 부도 위험을 보여주는 아일랜드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38bp 올라 사상 최고치인 425bp을 기록했다.

아일랜드의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아일랜드가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에 자금 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는 위험스런 상황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이에 대해 아일랜드 재무부는 “아일랜드가 외부 지원에 의존할 것이란 소문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아일랜드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은행들이 연쇄 도산하면서 앵글로아이리시은행,아이리시네이션와이드 등이 국유화됐다.얼라이드아이리시은행에 대한 정부 지분도 50%를 넘어 5대 은행 중 4개 은행이 정부의 통제 아래 놓여 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