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비스, 페트병ㆍ廢자재서 실 생산…친환경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최대 폴리에스터 업체인 휴비스가 화학적 재생 기술을 개발,상업생산에 들어갔다. 페트병과 폐원사를 이용해 의류용 원사를 뽑아내기 시작했으며,향후 산업자재,가전제품,가구 등 폴리에스터의 모든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휴비스는 지난달부터 연간 3000t 규모의 상업생산 시설을 갖추고 폴리에스터 제품의 화학적 재생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화학적 재생은 폐 페트병 등의 폴리에스터 제품을 가열,분해한 뒤 화학구조를 바꿔 원료화해 칩으로 만드는 과정으로,단순히 페트병을 녹여 이물질을 제거하던 기존 물질 재생 공정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기존 물질 재생으론 폴리에스터에서 염료를 분리하는 것조차 불가능해 염료가 들어 있지 않은 무색 페트병만을 재활용해왔다. 하지만 화학 재생으론 유색 페트병에서 염료를 추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섬유와 결합해 조직구조가 복잡한 의류 등을 다시 폴리에스터로 바꾸는 것까지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박성윤 휴비스 폴리머팀장은 "기술적으론 자동차나 건축용 자재에서도 화학적 재생을 통해 실을 뽑아낼 수 있게 됐다"며 "경제성을 고려해 현재는 가공이 쉬운 페트병과 폐원사에서 고부가가치 섬유를 뽑아내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휴비스는 지난달부터 연간 3000t 규모의 상업생산 시설을 갖추고 폴리에스터 제품의 화학적 재생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화학적 재생은 폐 페트병 등의 폴리에스터 제품을 가열,분해한 뒤 화학구조를 바꿔 원료화해 칩으로 만드는 과정으로,단순히 페트병을 녹여 이물질을 제거하던 기존 물질 재생 공정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기존 물질 재생으론 폴리에스터에서 염료를 분리하는 것조차 불가능해 염료가 들어 있지 않은 무색 페트병만을 재활용해왔다. 하지만 화학 재생으론 유색 페트병에서 염료를 추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섬유와 결합해 조직구조가 복잡한 의류 등을 다시 폴리에스터로 바꾸는 것까지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박성윤 휴비스 폴리머팀장은 "기술적으론 자동차나 건축용 자재에서도 화학적 재생을 통해 실을 뽑아낼 수 있게 됐다"며 "경제성을 고려해 현재는 가공이 쉬운 페트병과 폐원사에서 고부가가치 섬유를 뽑아내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