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에스원, 위치기반 보안 서비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대폰 버튼 누르면 요원 출동
SK텔레콤이 에스원과 제휴를 맺고 휴대폰 위치기반서비스(LBS)를 활용한 보안 서비스를 내놓는다. SK텔레콤 가입자가 신변 위협을 느끼고 휴대폰 버튼 하나만 누르면 에스원의 관제센터로 연결돼 안전요원들이 곧바로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SK텔레콤은 27일 에스원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3세대(3G) 네트워크 등을 활용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휴대폰의 LBS 기능을 활용한 안전 서비스 외에도 응급 환자를 발견해 즉시 치료할 수 있는 첨단 AED(자동 심장 제세동기) 등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AED는 심장이 박동을 멈추고 산소 공급이 중단됐을 때 자동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할 경우 전기 충격을 가해 생명을 구조하는 응급장비다. SK텔레콤과 에스원은 이 장비에 3G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위치추적 및 무선통신 기능을 더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환자 발생 시 이른 시간 내 인근 AED를 찾아 응급처치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료진과 직접 연락을 통해 효과적으로 환자를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SK텔레콤은 27일 에스원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3세대(3G) 네트워크 등을 활용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휴대폰의 LBS 기능을 활용한 안전 서비스 외에도 응급 환자를 발견해 즉시 치료할 수 있는 첨단 AED(자동 심장 제세동기) 등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AED는 심장이 박동을 멈추고 산소 공급이 중단됐을 때 자동으로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할 경우 전기 충격을 가해 생명을 구조하는 응급장비다. SK텔레콤과 에스원은 이 장비에 3G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위치추적 및 무선통신 기능을 더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환자 발생 시 이른 시간 내 인근 AED를 찾아 응급처치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료진과 직접 연락을 통해 효과적으로 환자를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