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지식경제부 제2차관은 27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의 중 · 일 간 영토 분쟁 과정에서 확인된 중국의 막강한 국력과 관련해 '활용론'을 제기했다.

그는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우리가 중국을 외면할 수가 없고 숙명적으로 같이 가야 한다"며 "중국이 욱일승천하는 걸 잘 타고 가면 선진국으로 가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역 의존도가 높다는 이유로 중국과의 교역 비중을 줄이기보다는 다른 나라와의 교역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미얀마와 아프리카 남미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차관은 중 · 일 간 분쟁으로 새롭게 부각된 희토류 자원 확보 문제에 대해서는 "내가 차관으로 오기 전에 이미 희토류 (비축분) 확보를 지경부가 계획했다"며 "이번에 광물자원 확보 예산뿐 아니라 지경부 전체 예산을 많이 따냈다"고 전했다. 해외 광물자원 개발 방식과 관련해 "내년에 탐사 단계에 있는 광산이나 광구를 찾아서 광물자원공사와 국내 민간 기업들이 공동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서 해당 국가의 정부 쪽과 함께하는 민간-공공 부문 협력 방식으로 몇 군데 들어가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차관은 또 올해 연간 무역수지 흑자폭이 애초 예측한 320억달러를 뛰어넘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LCD 가격이 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상황이 호조이기 때문에 이달에도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0% 이상의 흑자가 나는 등 연말까지 10% 이상 증가율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