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협의회 관계자는 29일 "현재 진행 중인 각 대학 입학사정관 전형이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대학별로 실태 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한국경제신문이 서울 주요 대학의 전임 입학사정관 수와 지원자 수를 비교 · 분석한 보도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의 문제점을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본지 9월29일자 A16면 참조

이 관계자는 "올해 입학사정관 전형 지원자 수가 대폭 늘어나 각 대학 입학사정관의 부담이 다소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대학별 실태 조사를 통해 각 대학 입학사정관들의 입장을 충분히 들은 뒤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대학마다 무한정 입학사정관을 늘릴 수 없는 만큼 보다 현실적인 대책을 강구하겠다는 게 대교협의 입장이다.

대교협 측은 그러나 "전임 입학사정관 외에 대학마다 교수 등 위촉사정관을 선임해 함께 전형 업무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임 입학사정관의 업무 부담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수험생을 둔 학부모들은 전임사정관 외에 위촉사정관이 있다고 해도 사정관 1인당 전형 인원 수는 줄어들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교협 측은 또 "대학마다 전형 방식이 다양해 어떤 전형의 경우 지원하는 모든 학생의 서류를 1단계에서부터 전부 검토하지 않는다"며 "학생부 등 일정 기준에 따라 일정 배수를 걸러낸 후 나머지에 한해 사정관이 심층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서울 소재 대학 3곳에 수시 지원서를 낸 한 학부모는 "입학사정관 전형이라고 해서 정성들여 서류를 준비해 제출했는데 일정 성적이 안 되면 아예 서류를 보지도 않는 것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점수가 아닌 학생의 창의성 및 잠재력 등을 보고 선발하겠다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무작정 전형만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