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등 대형증권사 큰폭 감소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국내 주식형 펀드 판매잔액은 지난 8월 말 기준 25조8795억원으로,작년 말(28조1133억원)보다 7.9%(2조2338억원) 감소했다. 올 들어 국내 주식형에서 10조원 넘는 자금이 유출되는 사이 증권사 판매잔액도 2조3000억원 넘게 낮아진 것이다. 은행의 펀드 판매잔액은 7조2000억원이나 줄었다.
이런 와중에 대우증권은 작년 말 1조734억원이던 판매잔액을 올 8월 말 1조2270억원으로 14.3%(1536억원) 늘렸다. 중소형 증권사들의 선전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말 55억원이던 IBK투자증권의 판매잔액은 8개월 만에 1082억원으로 20배 가까이 불어났고,솔로몬투자증권(727억원 증가) HMC투자증권(490억원) 등도 펀드 판매잔액이 작년 말보다 60~80% 증가했다. IBK증권 관계자는 "대형사들과 달리 기존 펀드 판매잔액이 적어 환매 영향을 덜 받았고 사모펀드 판매에도 주력해 판매잔액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부분의 대형 증권사는 판매가 부진했다. 펀드 판매 1위인 미래에셋증권은 판매잔액이 1조253억원(17.5%) 급감했다. 삼성(-3214억원) 한국투자(-2501억원) 하나대투(-1989억원) 등도 10% 안팎씩 잔액이 줄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증권사가 펀드보다 수수료가 2~3배 많은 자문형랩 ELS 등의 상품 판매에 치중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대형 증권사들이 펀드 판매에 소극적으로 나오자 계열 증권사가 없는 중소형 운용사들은 아예 판매사를 못 구해 신규 펀드를 내놓지 못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ING자산운용은 지난달 14일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비율을 시황에 따라 조절하는 'ING스마트레버리지'를 선보였지만 판매사를 잡지 못하고 있다. GS자산운용도 지난 8월 말 'GS독과점형기업1호'의 금융감독원 심의를 마쳤지만 펀드를 팔 곳을 정하지 못했다.
ING운용 관계자는 "증권사 10여곳에 펀드 판매를 요청했지만 아직 확답을 받은 곳이 없다"고 밝혔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