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모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은 양국에 손실을 가져오는 무역전쟁을 하지 않고 협상을 통해 중국 환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미 하원이 환율조작 국가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개혁 방안'을 통과시키면서 양국 간 환율전쟁 가능성이 제기되자 경제정책 책임자로서 무역전쟁과 환율전쟁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는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상당수 중국 지도부가 위안화가 공정한 가치를 찾아가는 게 경제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9월2일 이후 절상 속도가 빨라진 위안화 가치가 계속 상승하면 양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이트너 장관은 "지금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등을 통해 미국과 중국이 공조해 세계 경제를 회복시키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상원 통과 절차를 남겨놓은 하원의 공정무역 법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어떤 법도 세계 무역 질서에 부합해야 하고, 미국에 위험보다는 이익이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6개월마다 지정할 수 있는 환율조작국에 중국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월가에서도 무역전쟁이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점을 들어 미국과 중국이 환율전쟁을 벌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체이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마련한 경제동향 세미나에서세미나에서 “하원의 위안화 제재 법안은 상원에서 부결되거나 백
악관이 이를 중단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11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중부지역 중소기업들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한 정치적 동기에서 하원 법안이 통과됐지만 실제 시행 가능성은 없다”고 분석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