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담배값 인상으로 일본 애연가들의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 주요 언론에 따르면 일본 내 담배값이 1일부터 대폭 올랐다.20개피들이 1갑당 평균 60엔∼140엔(약 800∼2000원) 올라 사상 최대 인상 폭을 보였다.

일본담배공사(JT)의 대표 브랜드 ‘마일드세븐’은 300엔(약 4100원)에서 410엔(약 5600원)으로 인상됐고,필립모리스재팬의 ‘말보로’는 320엔(약 4300원)에서 440엔(약 6010원)으로 올랐다.

이번 담배값 인상은 흡연자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일본담배공사(JT) 자료에 따르면 최근 15년 동안 담배관련 세율이 총 5차례 인상됐고,이로 인해 성인 흡연율이 평균 35%에서 25%대로 하락하는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 담배값은 미국이나 EU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 이라며 “담배값을 올리면 흡연 인구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지속적으로 인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일본 정부는 앞으로도 담배값을 1갑 당 최대 1000엔(약 1만3600원)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할 방침이다.

흡연자들은 울상이다.담배값 부담 때문에 금연을 결심한 애연가도 많아졌다.미국 제약회사 화이자 일본지사가 사내 흡연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번 담배값 인상을 계기로 금연에 도전하겠다고 답한 사람은 94명에 달했다.

지난달 말에는 담배 사재기 열풍이 불기도 했다.인상 전날인 30일에는 가게마다 담배를 사기 위한 손님들로 장사진을 이뤘다.아사히신문은 “편의점 등에서 한꺼번에 300갑을 구매하는 애연가도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반발도 만만찮다.일부 흡연가들은 “정부가 ‘국민 건강’을 핑계로 담배세율을 대폭 올려 부족한 재정 재원을 충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담배판매조합 관계자는 “세율을 올리려면 국민적인 합의가 있어야 하는데 정부가 흡연자들을 죄인같이 취급하면서 막무가내로 세율을 올렸다” 며 “이는 명백한 인권침해 행위”라고 지적했다.

한편 담배 판매가 전체 매출에서 20% 이상을 차지하는 대도시 주변의 편의점들도 담배값 인상에 따른 매출 감소로 비상이 걸렸다.편의점협회는 담배값 인상을 보류해 달라는 건의문을 중앙정부와 지자체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