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토플 한경 TESAT] '헤지 거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ww.tesat.or.kr
문제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거래 중에서 나머지 네 개와 다른 종류는?
①원 · 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수출업체가 선물환을 매도한다.
②조선업체가 철강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해 미리 철강 구매 계약을 한다.
③수출대금과 수입대금이 비슷한 업체는 이런 거래를 할 필요가 없다.
④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공격적인 펀드를 부를 때 이 용어를 붙이기도 한다.
⑤펀드매니저가 보유 주식의 가격이 급락할 것으로 보고 주가지수 선물을 판다.
해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업체는 수출 대금으로 들어오는 달러를 원화로 바꿀 때 손실을 보게 된다. 그래서 미래에 들어올 달러를 특정한 환율로 매각할 수 있는 계약을 미리 해 두는 선물환 매도계약을 금융회사와 맺는다. 이를 헤지(hedge) 거래라 한다. 헤지 거래는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오르거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특정 상품의 가격을 미리 고정시켜 둠으로써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수출대금과 수입대금이 비슷한 업체는 들어오는 달러와 나가는 달러 규모가 비슷하므로 외환 헤지 거래를 할 필요가 없다. 주가 급락이 예상될 때는 주가지수 선물을 매도해 둠으로써 보유 주식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피할 수 있다.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공격적인 펀드를 헤지 펀드라고 부른다. 조선업체가 단순히 철강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해 철강을 미리 구입하는 것은 헤지 거래가 아니다.
정답 ②
①원 · 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수출업체가 선물환을 매도한다.
②조선업체가 철강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해 미리 철강 구매 계약을 한다.
③수출대금과 수입대금이 비슷한 업체는 이런 거래를 할 필요가 없다.
④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공격적인 펀드를 부를 때 이 용어를 붙이기도 한다.
⑤펀드매니저가 보유 주식의 가격이 급락할 것으로 보고 주가지수 선물을 판다.
해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업체는 수출 대금으로 들어오는 달러를 원화로 바꿀 때 손실을 보게 된다. 그래서 미래에 들어올 달러를 특정한 환율로 매각할 수 있는 계약을 미리 해 두는 선물환 매도계약을 금융회사와 맺는다. 이를 헤지(hedge) 거래라 한다. 헤지 거래는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오르거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특정 상품의 가격을 미리 고정시켜 둠으로써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수출대금과 수입대금이 비슷한 업체는 들어오는 달러와 나가는 달러 규모가 비슷하므로 외환 헤지 거래를 할 필요가 없다. 주가 급락이 예상될 때는 주가지수 선물을 매도해 둠으로써 보유 주식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피할 수 있다.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공격적인 펀드를 헤지 펀드라고 부른다. 조선업체가 단순히 철강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해 철강을 미리 구입하는 것은 헤지 거래가 아니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