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교수의 경제학 멘토링] 경제성장 시작은 산업혁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생산은 국가경제의 생산 규모를 나타내고,경제성장은 실질총생산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 대비 실질총생산의 증가율을 경제성장률이라고 한다.
과거 고도성장기의 한국 경제는 30년 이상 연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현재 중국과 인도 등 후발 고도성장 국가들도 비슷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일찍이 산업화에 성공한 선진국들의 성장률은 연 3% 정도로 비교적 낮다. 최근 금융위기가 강타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일시적이나마 크게 낮아진 상태다.
총생산이 증가하더라도 인구가 더 많이 증가해 버리면 1인당 총생산은 오히려 감소한다. 민생이 더 윤택해지려면 단순한 경제성장만으로는 안 되고 1인당 총생산이 증가해야 한다. 그런데 세계의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수천년 전부터 불과 200년 전까지의 기나긴 기간 줄곧 정체 상태에 머물러 왔던 것으로 추계된다. 통계자료가 구비된 것이 근래의 일인 만큼 정밀성은 떨어지지만 이 추계 결과는 산업혁명기까지 절대빈곤 선을 벗어나지 못하던 인류의 생활상과 잘 일치한다.
세계 1인당 총생산은 1820년께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해 2000년까지 무려 9배나 증가했다. 세계 인구도 같은 기간 6배로 증가했다. 세계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왜 19세기 초까지 계속 일정 수준에 묶여 있다가 갑자기 급증하기 시작한 것일까?
전통적 농경사회에서 주 산업은 농업이다. 일손이 늘어나면 수확량이 늘기는 하겠지만 농지면적이 일정한 한 점차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필경 상한에 이른다. 이것을 '수확체감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인구가 증가하면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서 1인당 소비 가능한 곡식의 수량은 종내 감소할 수밖에 없고,이 수량이 생존 유지에 필요한 최소 수준으로까지 하락하고 나면 인구도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한다. 결국 인구는 각자 생존 가능한 최저 생활 수준을 겨우 감당하는 규모에서 성장을 멈추고,1인당 총생산도 최저 생활을 실현하는 수준에 묶이게 마련이다.
산업혁명 이전 농경 중심의 전통사회에서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이 수천년 동안 정체 상태에 머물러 온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혁명이 모든 것을 바꿔 버렸다. 사회적 분업을 고도화하고 신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생산능력을 비약적으로 신장시킨 것이다.
다른 나라의 산업화가 뒤를 이으면서 인류의 생산성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 세계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전례없이 빠른 속도의 성장에 돌입했고 경제성장은 경제학의 주요 연구과제가 됐다.
이승훈 <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
과거 고도성장기의 한국 경제는 30년 이상 연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현재 중국과 인도 등 후발 고도성장 국가들도 비슷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일찍이 산업화에 성공한 선진국들의 성장률은 연 3% 정도로 비교적 낮다. 최근 금융위기가 강타한 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일시적이나마 크게 낮아진 상태다.
총생산이 증가하더라도 인구가 더 많이 증가해 버리면 1인당 총생산은 오히려 감소한다. 민생이 더 윤택해지려면 단순한 경제성장만으로는 안 되고 1인당 총생산이 증가해야 한다. 그런데 세계의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수천년 전부터 불과 200년 전까지의 기나긴 기간 줄곧 정체 상태에 머물러 왔던 것으로 추계된다. 통계자료가 구비된 것이 근래의 일인 만큼 정밀성은 떨어지지만 이 추계 결과는 산업혁명기까지 절대빈곤 선을 벗어나지 못하던 인류의 생활상과 잘 일치한다.
세계 1인당 총생산은 1820년께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해 2000년까지 무려 9배나 증가했다. 세계 인구도 같은 기간 6배로 증가했다. 세계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왜 19세기 초까지 계속 일정 수준에 묶여 있다가 갑자기 급증하기 시작한 것일까?
전통적 농경사회에서 주 산업은 농업이다. 일손이 늘어나면 수확량이 늘기는 하겠지만 농지면적이 일정한 한 점차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필경 상한에 이른다. 이것을 '수확체감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인구가 증가하면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서 1인당 소비 가능한 곡식의 수량은 종내 감소할 수밖에 없고,이 수량이 생존 유지에 필요한 최소 수준으로까지 하락하고 나면 인구도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한다. 결국 인구는 각자 생존 가능한 최저 생활 수준을 겨우 감당하는 규모에서 성장을 멈추고,1인당 총생산도 최저 생활을 실현하는 수준에 묶이게 마련이다.
산업혁명 이전 농경 중심의 전통사회에서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이 수천년 동안 정체 상태에 머물러 온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혁명이 모든 것을 바꿔 버렸다. 사회적 분업을 고도화하고 신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생산능력을 비약적으로 신장시킨 것이다.
다른 나라의 산업화가 뒤를 이으면서 인류의 생산성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 세계 인구와 1인당 총생산은 전례없이 빠른 속도의 성장에 돌입했고 경제성장은 경제학의 주요 연구과제가 됐다.
이승훈 <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