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빼든 김성환 외교 "나부터 과감히 변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정한 외교부'로 신뢰 회복
고위직 외부수혈 대폭 확대
고위직 외부수혈 대폭 확대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사진)이 8일 취임하자마자 외교부의 개혁을 위한 칼을 빼들었다. 외교관 선출 방식은 물론 공관장 인사에 경쟁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입장까지 밝혔다. 대대적인 쇄신을 예고한 것이다. "외교부를 잘 아는 김 장관이 외교부 개혁을 주도해달라"는 대통령의 주문에 대한 즉각적인 화답인 셈이다.
취임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그의 표정은 비장했다. 그는 "명예가 제일 중요한 집단인 외교부가 명예를 잃었다는 점이 너무 안타까웠다"며 "길은 하나다. 올바른 길을 가는 데 좌고우면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저부터 과감히 변신하기 위해 노력하고 사사로운 인연에서 완전히 벗어나겠다"며 "여러분들이 그동안 본 제 모습과는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취임일성으로 던진 화두는 '공정한 외교통상부'다. 특채파동 이후 바닥으로 실추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려면 무엇보다도 공정성 확보가 시급하고 이는 조직 전체에 대한 전면적 쇄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다.
김 장관이 취임사에서 "'특혜'라는 단어가 부내에서 다시는 들리지 않도록 능력 본위의 인사를 실현하겠다"며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과감하게 청산하고 전면적인 쇄신을 이뤄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이 구상하는 인사쇄신의 방향은 경쟁시스템의 도입과 특채제도 쇄신,고위직 퇴출시스템 강화,재외공관장 개방 확대로 압축된다.
우선 이번 파동의 진원 격인 특채 및 인사운용 제도와 관련해 특채의 대부분을 행정안전부로 이관하고 이 중 가급적 특채 대신 공채를 확대하는 방안이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외무고시를 대체하는 외교아카데미 설립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외교관과 고위공직자 자녀들에 대해 검증을 강화하는 특별관리시스템과 인사위원회 강화 방안이 추진된다. 김 장관은 "이들에 대해 한번 더 스크리닝(검증)을 하겠다"고 말했다.
고위직에 대한 퇴출시스템 강화는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 장관은 "공관장 적격심사 기준을 강화하고 역량 평가를 통해 부적격자를 선별해 퇴출시키는 제도를 도입하겠다"며 "특히 공관장을 감사하고 평가하는 '감사 대사'를 별도로 두겠다"고 약속했다. 감사평가를 토대로 성과를 낸 공관장에게는 기회를 더 주되 기대에 못 미친 공관장에 대해선 과감히 기회를 박탈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고위직에 대한 대외개방의 문호를 대폭 넓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김 장관은 "재외공관 고위직을 개방해 비직업 외교관이 공관장이나 공관 간부로 봉직할 수 있는 길을 보다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쟁력을 갖춘 타부처 공무원과 민간인 출신의 인재들을 대거 등용하겠다는 의미다. '공정사회 구현'과 더불어 "외교분야도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재들을 등용해야 한다"는 이 대통령의 외교개혁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취임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그의 표정은 비장했다. 그는 "명예가 제일 중요한 집단인 외교부가 명예를 잃었다는 점이 너무 안타까웠다"며 "길은 하나다. 올바른 길을 가는 데 좌고우면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저부터 과감히 변신하기 위해 노력하고 사사로운 인연에서 완전히 벗어나겠다"며 "여러분들이 그동안 본 제 모습과는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취임일성으로 던진 화두는 '공정한 외교통상부'다. 특채파동 이후 바닥으로 실추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려면 무엇보다도 공정성 확보가 시급하고 이는 조직 전체에 대한 전면적 쇄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다.
김 장관이 취임사에서 "'특혜'라는 단어가 부내에서 다시는 들리지 않도록 능력 본위의 인사를 실현하겠다"며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과감하게 청산하고 전면적인 쇄신을 이뤄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이 구상하는 인사쇄신의 방향은 경쟁시스템의 도입과 특채제도 쇄신,고위직 퇴출시스템 강화,재외공관장 개방 확대로 압축된다.
우선 이번 파동의 진원 격인 특채 및 인사운용 제도와 관련해 특채의 대부분을 행정안전부로 이관하고 이 중 가급적 특채 대신 공채를 확대하는 방안이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외무고시를 대체하는 외교아카데미 설립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외교관과 고위공직자 자녀들에 대해 검증을 강화하는 특별관리시스템과 인사위원회 강화 방안이 추진된다. 김 장관은 "이들에 대해 한번 더 스크리닝(검증)을 하겠다"고 말했다.
고위직에 대한 퇴출시스템 강화는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 장관은 "공관장 적격심사 기준을 강화하고 역량 평가를 통해 부적격자를 선별해 퇴출시키는 제도를 도입하겠다"며 "특히 공관장을 감사하고 평가하는 '감사 대사'를 별도로 두겠다"고 약속했다. 감사평가를 토대로 성과를 낸 공관장에게는 기회를 더 주되 기대에 못 미친 공관장에 대해선 과감히 기회를 박탈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고위직에 대한 대외개방의 문호를 대폭 넓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김 장관은 "재외공관 고위직을 개방해 비직업 외교관이 공관장이나 공관 간부로 봉직할 수 있는 길을 보다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쟁력을 갖춘 타부처 공무원과 민간인 출신의 인재들을 대거 등용하겠다는 의미다. '공정사회 구현'과 더불어 "외교분야도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재들을 등용해야 한다"는 이 대통령의 외교개혁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