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코웨이의 주요 사업영역은 정수기와 비데,공기청정기 등 생활가전 렌털사업이다. 하지만 요즘 웅진코웨이의 주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화장품 분야다. 최근 웅진코웨이가 중 · 장기 성장동력을 위해 가장 역점을 기울이는 부문이기도 하다.

◆브랜드숍 · 백화점 매출 쑥쑥

지난해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12.5% 증가한 7조4000억원에 달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이 지난해 0.2%로 2004년 이후 가장 낮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매우 고무적이다. 화장품은 더이상 경기민감 업종이 아니다.

올해 국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1.1% 늘어난 8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 기업의 브랜드 제품을 모아놓은 브랜드숍 부문이 17.2%로 증가해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다양한 기업의 제품을 한꺼번에 판매하는 종합 화장품매장은 이제 길거리에서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대신 아리따움 더페이스샵 스킨푸드 등 브랜드숍이 새로운 유통채널로 자리잡았다.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은 올 상반기 기준 1159개,더페이스샵은 807개 매장을 갖고 있다.

중소 화장품업체들도 브랜드숍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한국화장품이 브랜드숍 '더샘'을 론칭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8월 첫 매장을 연 뒤 현재까지 약 30개의 매장을 확보했다.

고성장세가 전망되는 또 다른 화장품 판매채널은 백화점이다. 올해 15.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은 대표적인 프레스티지 판매채널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진입이 활발하고 경쟁도 치열하다. 올 들어 내국인의 해외 여행이 활발해지면서 백화점 채널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란 우려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먼 곳보다는 가까운 국가로 떠나는 여행객이 많았고,국내 소비자들의 수요가 국내로 한정되면서 백화점 시장은 오히려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내 브랜드의 위상은 크게 높아졌다. 이는 올해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브랜드 컨셉트의 차별화,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국내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플레이어들 속속 진입

최근 화장품업계의 판도는 변화무쌍하게 움직이고 있다. 비화장품 회사들이 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면서다. 대표적인 예가 웅진코웨이다. 웅진코웨이는 국내 시장에 진출하기 전부터 중국시장에서 빠르게 성장,시장의 주목을 받아왔다. 중국에서의 화장품 사업,10여년 전 코리아나 화장품 사업,생활가전의 방문판매 경험 등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안착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 완성품 업체들 외에 제조업체들도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브랜드숍의 성장과 비화장품 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그 배경이다. 브랜드숍 시장에서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외주 업체에 생산을 의뢰하고 있다. 비화장품 업체로서는 초기 투자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조업체를 활용하는 것이 여러 모로 나은 전략이기 때문이다.

◆중국시장은 국내 업계의 최대 기회

화장품 기업에 또 다른 성장의 기회가 되고 있는 것이 중국의 성장세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약 200억달러 규모로 불어났다. 국내 시장의 약 세 배에 이른다. 하지만 중국의 1인당 화장품 소비는 아직 국내 화장품 소비 대비 약 14%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만큼 향후 중국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 소비 규모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미 1선 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은 대부분 진출을 완료한 상황이다. 국내 기업 중 아모레퍼시픽이 백화점 브랜드 라네즈를 성공적으로 중국 백화점 시장에 안착시켰다.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2,3선 도시는 백화점보다는 대형마트나 전문점 형태의 화장품 채널이 확대되고 있다. 향후 소비는 이 같은 2,3선 도시에서 오히려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들도 주로 이들 지역을 공략하고 있다. 웅진코웨이 역시 글로벌 브랜드의 경쟁이 치열한 1선 도시보다는 2,3선 도시를 타깃으로 잡았다. 이 같은 전략은 일단 적중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시장에서 국내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도 역시 꾸준히 높아지고 있어 국내 업계에 최대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