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 치의대로 복귀하지 않고 현행 체제를 유지하는 의 · 치의학전문대학원(의 · 치의전원)은 교수 증원을 비롯해 행정 ·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이런 내용이 담긴 '의 · 치의학전문대학원 행 · 재정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교과부는 우선 의 · 치의전원의 교원 증원 요건이 학부인 의대보다 엄격하다는 점을 감안해 국립대 교수를 증원할 때 인원을 우선 배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전문대학원 체제 정착비로 올해 40억원을 투입하는 등 2012년까지 재정 지원도 계속하기로 했다.

또 현재 국회에 제출돼 있는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총 입학정원의 20~30% 범위에서 학 · 석사 통합과정으로 학생을 선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고교 졸업생을 바로 전문대학원 신입생으로 뽑을 수 있어 우수학생을 조기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초의학 연구 중심의 '의과학자 과정'을 운영하는 전문대학원에는 국고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 의과학자 과정을 밟는 학생이 병역 때문에 학업을 중단하는 일이 없도록 입영 연기방안도 병무청 등과 협의하기로 했다.

교과부는 이와 함께 의 · 치의전원 운영으로 의사 양성 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현행 인턴 · 레지던트 제도의 개선을 검토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에 인턴제(수련기간 1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교과부는 이달 말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의 · 치의대 복귀 여부에 대한 계획서를 제출받아 대학별 정원 조정 계획을 확정 · 발표할 예정이다. 전국 41개 의대 중 의전원으로 완전 전환한 대학은 건국대 경희대 등 15곳,의전원 · 의대 병행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12곳이다. 병행 대학 12곳 가운데 동국대를 제외한 11곳은 모두 의대로 복귀하겠다는 계획서를 이미 제출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