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BW 발행 기업 24% 상장폐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건 의원(민주당)이 내놓은 한국거래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코스닥 상장사 중 유상증자를 실시한 기업 544개 가운데 23.1%인 126개가 상장폐지됐다. 특히 상장폐지 기업 가운데 88.1%인 111개 기업은 유상증자를 실시한 뒤 1년 내 퇴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자금조달 수단인 BW나 CB 발행 상장사도 무더기로 상장폐지됐다. 2007년 이후 BW를 발행한 기업 324개 중 24.0%인 78개가 상장폐지됐고,이들 중 53.8%는 BW 발행 후 1년 안에 사라졌다. CB를 발행한 기업도 28.4%가 상장폐지됐고,이 중 77.3%는 1년을 버티지 못했다. BW와 CB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채권이다.
신 의원은 "건전한 사업 확장과 운영자금 조달 목적으로 쓰여야 할 유상증자 등 자금 조달 방식이 상장폐지 요건 피하기에 급급한 한계기업의 급전 조달 수단으로 악용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부도덕한 경영진과 대주주의 횡령 · 배임이 속출해 증시에서 조달한 자금이 증발되는 일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신 의원은 "코스닥 기업의 부실성이 여전히 도마에 오르는 현실에서 거래소의 더욱 철저한 감독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배영식 한나라당 의원은 전체 코스닥 상장사의 23.4%인 227개가 3년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라고 밝혔다. 배 의원은 "연속 적자기업이 많다는 것은 상장 절차가 그만큼 허술하다는 의미"라며 "거래소는 적자 실태를 지속적으로 공시하고 이들 기업의 실상을 알려 투자자들의 손실을 막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