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환율 리스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자국의 통화가치를 낮게 유지하려는 ‘환율전쟁’이 전세계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이달 초 전국 500개 대·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들의 금융 리스크 헤지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26.4%가 선물환 등 환율 리스크 헤지 상품에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규모별로는 대기업이 23.0%,중소기업은 28.7%로 중소기업의 비중이 더 높았다.

환율에 이어선 원자재(6.6%) 금리(6.4%) 신용(3.0%) 관련 헤지 상품에 가입한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부족과 비용부담,복잡한 가입절차 등이 기업들이 관련 상품을 가입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금융 리스크 관련 상품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엔 절반이 넘는 59.8%가 ‘그렇다’고 대답해 가입률에 비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하지만 가입과 운용에 필수적인 전문인력과 자체 규제책을 갖춘 곳은 상품에 가입한 기업들 중에도 각각 7%와 26.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환율 리스크는 선물환과 환율파생상품을 통해 위험을 낮추지 못하면 급격한 환율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선진국 기업들이 투자은행과 전문기관을 통해 관련 리스크를 제거하고 있는 것을 참고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이 금융 관련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정부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리스크 헤지 상품 가입 지원(37.6%),관련 교육 제공(35.6%),리스크 헤지 필요성 홍보(18.4%) 순으로 집계됐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환율,금리,원자재 등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경영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금융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며 “금융위험 관리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더불어 기업 내부에서도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