댜오위다오(釣魚島 · 일본명 센카쿠열도) 영유권 문제로 촉발된 중국의 반일시위가 이틀 연속 이어지면서 일부 시위대가 일본 상점에 투석하는 등 과격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보도를 통제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중국 권력층 강경파의 사주를 받은 관제시위라는 설도 나돌고 있어 양국 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18일 일본과 홍콩 언론에 따르면 쓰촨성 진양(錦陽)에서 지난 17일 1만여명이 모인 가운데 대규모 반일 시위가 벌어졌다. 이들은 자동차 판매점이 밀집한 지역에서 시위를 벌이다가 일본 차를 부수고 일본 전자제품 판매점과 일본 식당을 향해 돌을 던지기도 했다.

이날 시위로 일본 차 판매점과 가게들이 상당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이들이 "일본 상품을 사지 말라"고 외치며 거리를 행진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지난 16일에는 청두(成都),시안(西安),정저우(鄭州) 등 3개 도시에서 대규모 반일시위가 벌어졌다.

이와 관련,간 나오토 일본 총리는 18일 "중국 당국에 유감의 뜻을 전달하고 일본인과 일본 기업의 안전 확보를 강력히 요청했다"며 "일본과 중국이 전략적 호혜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 냉정하게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 언론들은 16일 반일시위가 처음 발생했을 때와는 달리 17일부터는 이와 관련된 보도를 하지 않고 있다. 일본 극우파를 자극,보복성 시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번 반일시위가 정부 내 강경파의 사주를 받거나 최소한 묵인하에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콩의 왕바오(旺報)는 시위 주도 대학생들은 정부와 관련된 학생회에 소속돼 있고 지난달 반일시위와 달리 정부가 즉각 저지에 나서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시안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위해 길을 터줬으며 포털사이트 시나닷컴은 이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의 한 외교 전문가는 "일시에 여러 도시에서 시위가 발생한 것은 조직적으로 준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배후에 큰 세력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양국 정부가 댜오위다오 문제를 덮어두고 관계 개선에 나서려 하자 이를 방해하려는 강경세력이 개입했거나 최근 언론자유와 인권 개선 요구 등으로 중국 사회 내부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도의 정치적 계산이 작용했을 수 있다고 이 전문가는 분석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