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직장인 K씨는 최근 대출을 받기 위해 신용평가사를 찾았다가 믿기 어려운 결과를 통보받았다. A사에 등급 평가를 의뢰했더니 '8등급'이라는 좋지 않은 결과가 나왔는데 혹시나 해서 들른 B사에서는 2등급을 받았다. K씨는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금융감독원에 문의했다. 금감원은 A사는 통장,펀드 등 계좌 개설 정보를 반영하고 카드정보는 반영하지 않은 반면,B사는 계좌 개설 정보는 보지 않고,카드 정보만 30% 이상 봤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금융회사들은 낮은 등급을 기준으로 대출을 하기 때문에 K씨는 결국 8등급 기준인 연 6~7%의 조건으로 대출을 받았다.

50대 자영업자인 L씨 역시 최근 B사에서 7등급을 받았지만,C사에선 최고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 지방세 연체기록과 신용정보 조회기록을 갖고 있는 L씨에 대해 C사는 신용조회 정보도 보지 않고 B사보다 세금 연체정보를 10%포인트 낮게 반영했기 때문이다.

개인신용등급을 평가하는 평가사들의 기준이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이 19일 국회 예산정책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신용정보(NICE),한국신용평가정보(KIS),코리아크레딧뷰로(KCB) 등 세 신용평가기관은 각기 다른 평가 기준을 쓰고 있어 이들이 동일한 고객에 대해 똑같은 평가등급을 낼 확률은 0.000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NICE의 경우 카드정보는 일절 보지 않고 △연체 등의 신용판단정보는 49% △대출 · 보증정보 31.8% △통장 · 펀드 개설정보 9.7% △신용조회 정보 9.5% 등의 비중으로 신용을 평가하고 있다. KIS도 카드정보를 보지 않는 것은 같았으나 △연체 등 신용판단정보는 39.6% △대출 · 보증정보 30.5% △신용조회 정보 16.3% △통장 · 펀드 개설정보 13.6% 등으로 항목별 평가비중이 NICE와 달랐다.

반면 KCB는 다른 두 회사가 평가하지 않는 카드정보를 32% 비중으로 보고 대출 · 보증 정보도 40% 비중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연체 등의 정보는 28%로 낮춰 보고,조회정보와 개설정보는 아예 평가항목에 넣지 않고 있다.

이런 차이로 새희망홀씨대출의 자격기준인 5등급의 경우 NICE는 1109만명(29%)인 데 비해 KCB는 947만명(25%),KIS는 323만명(9%)에 그쳤다.

홍 의원은 "신용평가 회사별로 신용등급 평가 기준과 결과가 이렇게 달라서 어떻게 이를 믿고 서민대출정책을 실시할 수 있겠는가"라며 "금융당국이 나서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