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 고위당국자는 20일 북핵 6자회담 재개와 관련,"북한이 과거 6자회담 과정에서 국제사회로부터 중유 75만t을 받은 만큼 (북핵의) 불능화를 이행하겠다는 성의를 보이고 구두약속을 한다면 6자회담 재개에 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외교부 출입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북한이 결자해지하는 차원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복귀시키거나 핵시설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6자회담이 열리더라도 과거와는 다른 형식이 될 것"이라며 "농축 우라늄과 장거리 미사일 문제가 새로 부상한 만큼 이를 의제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천안함 사과가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6자회담 재개와 직결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난해 9월 이명박 대통령이 제안한 그랜드바겐(일괄타결)안은 여전히 유효한 안"이라며 "현재 5자 간에는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으며 중국도 '대교역(大交易)'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이를 인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한국은 5자의 의견을 수렴해 북한을 상대로 그랜드바겐 협상을 할 용의가 있으며 만일 북한이 미국과 협상하기 원한다면 미국에 이를 위임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대중 관계와 관련,"중국과의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중국 과(課)를 하나 더 늘리고 실무인력을 보강하는 한편 한 · 중 우호협회와 같은 반관반민의 외곽단체를 만들어 대중외교를 지원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외교부 차관 인사에 대해 "차관 두 자리 가운데 한 자리는 외부에 개방할 것"이라며 "교수나 학자,기획재정부 등 타 부처 관료를 영입하는 작업을 검토하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정책기획국장과 문화외교국장의 외부 기용에 대해 "정책기획국은 미국 국무부 식으로 정책기획위원회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며 문화외교국장은 문화관광부와 인사교류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