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상황과 배경 등 추가하고 제목 변경.>>

지난해 하반기부터 개점휴업 상태를 유지했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가 21일 C&그룹 압수수색과 함께 본격 재가동하면서 정ㆍ관ㆍ재계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과거 권력형 비리를 주로 수사해온 중수부가 1년이 넘도록 벼려온 칼을 직접 빼든 이상 사정수사의 최고 사령부라는 명성에 걸맞는 `게이트급' 수사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다.

'박연차 게이트' 수사 이후 1년 이상 동면상태로 있다가 지난 7월께 재가동 방침을 정한 중수부는 기존의 축적된 첩보를 토대로 광범위한 내사를 통해 수사대상을 물색하다 최근 표적을 3~4곳으로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주변에서는 재계 10위권의 A그룹을 비롯해 최근 성장 가도를 달리는 B그룹과 C그룹도 중수부의 향후 수사 타깃으로 거론되고 있다.

언제든 사정수사의 불길이 또 다른 대기업으로 옮겨붙을 개연성이 실존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준규 검찰총장도 지난 18일 국회 법사위의 국정감사에서 "중수부가 1년 동안 가동을 안하고 예비군 체제로 운영하다 최근 수사체제로 들어가 수사는 시점 문제"라며 대대적인 사정폭풍이 휘몰아칠 것임을 예고했다.

일각에서는 수사를 재개한 중수부의 첫 표적이 한때 재계 60위권에 올랐으나 현재는 사세가 크게 기운 C&그룹으로 드러난데 대해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C&그룹은 C&우방 등 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워크아웃 절차에 돌입한 뒤 증시에서 상장폐지되고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사실상 파산 상태여서 기업 비리사건치고는 비중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C&그룹이 무명의 지역기업으로 출발해 대그룹으로 단기간 압축성장한 점으로 볼 때 이번 수사의 최종적인 칼끝은 성장 과정에서 그룹을 비호해온 정관계 인사들을 겨냥하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동안 C&그룹이 인수·합병(M&A)으로 몸집을 키울 당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해 정관계를 상대로 광범위한 로비를 벌였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과거에도 기업비리가 대형 권력형비리로 발전했던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김 총장이 국감에서 `검찰의 관심은 항상 비자금에 있다'며 비자금 수사를 강조한 점도 중수부가 대기업의 검은돈과 권력의 유착을 파헤치는 데 집중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중수부는 수사 중단 상태에서도 칼을 가는 데 소홀하지 않았다.

폐지론에 맞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하고서 수사 일선에 직접 나서지 않은 1년4개월간 후방에서 일선 검찰청의 수사를 지원하는 업무와 '예비군 훈련'에 주력했다.

경력 5년차 이상의 검사 25명과 수사관 20명을 선발해 놓고 평상시 일선에 배치했다가 필요할 때 불러들이는 체제로 운영하면서 매월 한차례 집합연수(팀워크 훈련)도 실시했다.

대검은 중수부의 본격 재가동에 앞서 최근 일선 검찰청에 배치했던 검사와 수사관들을 불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C&그룹을 시작으로 재개된 중수부 수사가 단순한 기업비리를 넘어 정ㆍ관계와 연결된 권력형 비리 사건으로 커지면서 연말을 앞둔 우리 사회를 매서운 사정한파 속으로 빨려들게 할지 검찰 행보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웅 나확진 기자 abullapia@yna.co.krra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