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증권가가 22일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 이슈로 한바탕 소란을 겪었다. 지난 6월 선진지수 편입을 가로막았던 코스피200지수 사용권 문제가 타결됐다는 소식이 퍼진 때문이다. 한국거래소 측이 '사실 무근'이라고 해명하면서 루머는 곧 사라졌지만 거래소와 MSCI 측이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돼 결과가 주목된다.

잠잠하던 MSCI 선진지수 문제를 촉발한 것은 이날 오전 증권가에 메신저로 유포된 한 쪽지였다. MSCI 측이 코스피200지수의 무단 사용을 인정하고 과거 10년간 지수사용 대금을 거래소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었다. 양측이 평행선을 달렸던 지수 사용권 문제가 일단락되면서 MSCI 선진지수 편입도 사실상 결정됐다는 것이다.

소문이 여의도에 급속히 퍼지자 거래소가 즉각 해명에 나섰다. 명인식 거래소 정보사업부장은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MSCI 측이 협상을 요청해와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결론이 나온 것은 아니며 여러 의견을 교류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그는 "MSCI가 지난 10여년간 코스피200 등 지수를 사용해 금융상품을 만들면서 거래소에 사전 승인을 받지 않았다"며 "MSCI는 정보이용료 계약을 거부해왔다"고 설명했다.
거래소는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한 국내 선물 · 옵션 시장에 대해 지식재산권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선진지수 편입 결정권을 쥔 MSCI 측이 사전 승인 조항 폐지를 조건으로 내세워 입장을 좁히지 못했다는 것이다.

최근 현경병 한나라당 의원은 거래소 국정감사에서 "2년 연속 선진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결정적 이유는 코스피200 지수 사용권 등 시세 정보를 거래소가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