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제는 아프리카"…자원 외교 '올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인공관 4인으로 확대, 근무수당 150%로 상향, 공적개발원조 두 배 늘려
정부가 아프리카 외교에 인력과 돈을 집중 투입한다.
외교 소식통은 4일 "근무여건이 열악한 특수지 재외공관을 재분류하면서 아프리카 지역 공관에 수당과 인력을 대폭 확충키로 했다"고 밝혔다. 외교통상부는 최근 재외공관 168개 가운데 100개였던 특수지를 55개로 축소했다. 또 특수지 등급도 기존 '가' '나' '다' '라' 4등급에서 '가' '나' '다' 3등급으로 줄였다. 아프리카 공관 14개를 제외하고 다른 특수지 공관(이집트 브라질 러시아 폴란드 등)을 대거 특수지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근무여건이 가장 열악한 '가'급 특수지는 종전 29개에서 13개로,'나'급은 33개에서 22개,'다'급은 18개에서 20개로 각각 조정됐다.
외교 당국자는 "재외공관의 특수지 수당은 한정돼 있다"며 "특수지 공관이 축소됨에 따라 자연히 특수지 공관의 수당은 증액되는 효과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 · 중동 지역에 근무하는 외무공무원의 특수지 근무수당은 최대 15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통령령인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재외공관 중 근무여건이 가장 열악한 가급 특수지에 근무하는 최고 직무등급 외무공무원에게 월 1800달러의 수당이 지급된다.
외교부는 또 아프리카 공관의 인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공관을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인력확충이 이뤄지면 현재 3인 공관을 모두 4인 이상으로 확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 대사관에 대한 지원확대와는 별도로 공적개발원조(ODA)도 대폭 증액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달 말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열고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원조(유상+무상원조) 비중을 현재 10%에서 20% 정도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유 · 무상 원조를 집중할 ODA 중점협력국 26개국을 지정하면서 아프리카 지역 9개국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아프리카 외교에 공을 들이는 것은 글로벌 경제전쟁에서 자원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석유 광물자원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아프리카 공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부 관계자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등을 계기로 한국의 개발경험을 전수받으려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 지역과 전략적으로 전방위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외교 소식통은 4일 "근무여건이 열악한 특수지 재외공관을 재분류하면서 아프리카 지역 공관에 수당과 인력을 대폭 확충키로 했다"고 밝혔다. 외교통상부는 최근 재외공관 168개 가운데 100개였던 특수지를 55개로 축소했다. 또 특수지 등급도 기존 '가' '나' '다' '라' 4등급에서 '가' '나' '다' 3등급으로 줄였다. 아프리카 공관 14개를 제외하고 다른 특수지 공관(이집트 브라질 러시아 폴란드 등)을 대거 특수지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근무여건이 가장 열악한 '가'급 특수지는 종전 29개에서 13개로,'나'급은 33개에서 22개,'다'급은 18개에서 20개로 각각 조정됐다.
외교 당국자는 "재외공관의 특수지 수당은 한정돼 있다"며 "특수지 공관이 축소됨에 따라 자연히 특수지 공관의 수당은 증액되는 효과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 · 중동 지역에 근무하는 외무공무원의 특수지 근무수당은 최대 15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통령령인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재외공관 중 근무여건이 가장 열악한 가급 특수지에 근무하는 최고 직무등급 외무공무원에게 월 1800달러의 수당이 지급된다.
외교부는 또 아프리카 공관의 인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공관을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인력확충이 이뤄지면 현재 3인 공관을 모두 4인 이상으로 확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 대사관에 대한 지원확대와는 별도로 공적개발원조(ODA)도 대폭 증액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달 말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열고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원조(유상+무상원조) 비중을 현재 10%에서 20% 정도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유 · 무상 원조를 집중할 ODA 중점협력국 26개국을 지정하면서 아프리카 지역 9개국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아프리카 외교에 공을 들이는 것은 글로벌 경제전쟁에서 자원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석유 광물자원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아프리카 공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부 관계자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등을 계기로 한국의 개발경험을 전수받으려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 지역과 전략적으로 전방위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