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중국대사관이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국의 부정선거 개입설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연합뉴스에 따르면 대사관은 지난 8일 "한국 내정 문제를 중국과 무리하게 연계시키는 것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전했다.대사관은 "중국은 일관되게 내정 불간섭 원칙을 견지해왔다"며 "우리는 말하는 대로 행동하며 이에 대해 당당하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한국 국민들이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올바른 판단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최근 확산하는 '혐중(嫌中) 정서'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최근 서울 중구 명동 중국대사관 앞에서 '멸공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시진핑 아웃", "탄핵 무효" 등의 구호를 외쳤다.이에 대사관은 "많은 국민들이 상대국에서 일하고, 공부하고, 생활하고, 여행하고 있다"며 "한국 측이 재한 중국 국민들의 안전과 합법적 권익을 확실히 보장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우호적인 이웃으로서 중국은 한국이 안전, 발전, 번영을 유지하길 바란다"며 "이는 한국 측에 대한 소중한 정치적 지지"라고도 했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3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한 MB계와 회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장관은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선을 그은 바 있지만, 사실상 물밑 대권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복수의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청계재단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만났다. 회동에는 친이(친이명박)계인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이 배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회동은 김 장관 측 요청으로 만들어졌다는 전언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김 장관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자리로, 이 전 대통령을 인사차 방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선 김 장관이 이 전 대통령에게 대선 출마 등 관련해 조언을 받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앞서 김 장관은 지난 4일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검토하거나 생각한 것이 전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과의 회동이 사실상 대권 행보의 시작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정치권에서 나온다. 앞서 김 장관은 대선 출마 가능성을 질문받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과 계엄 관련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이를) 단정할 수 없다"며 이같이 답했다.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김 장관의 대선 등판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한 국민의힘 재선 의원은 "김 장관의 지지율 정도면 본인도 생각이 있지 않겠느냐"며 "윤석열 대통령의 '옥중 정치'가 이어지면 가장 탄력을 받을 사람은 김문수"라고 말했다.박주연/정소람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에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고 진술한 것과 관련 거짓말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윤 대통령 측이 반박에 나섰다.대통령 대리인 석동현 변호사는 9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윤 대통령이 '나는 인원이란 말을 안 쓴다'고 진술한 의미는 이 사람, 저 사람 등 지시대명사로 이 인원, 또는 저 인원이란 표현을 안 쓴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윤 대통령도 '인원수가 얼마냐', '불필요한 인원은 줄여라', '인원만큼 주문해' 이런 표현에서 당연히 인원이란 단어를 쓴다"며 헌재 변론에서 말한 '인원'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주장했다.앞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지난 6일 탄핵심판 6차 변론에서 계엄 당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인원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사람이라는 표현을 놔두고, 의원도 아닌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그러나 윤 대통령이 이날 변론을 비롯해 과거 공식 행사 등에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쓴 사례를 두고 야당을 중심으로 진술이 거짓말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