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G20 서울 정상회의 美ㆍ中 대립 중재가 관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G20 서울정상회의를 코 앞에 두고 국제사회가 다시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발표한 6000억달러 규모의 제2차 양적완화 계획에 대해 주요국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탓이다.
G20 정상회의에도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졌다. 글로벌 환율전쟁을 제어하기 위한 합의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가 높았지만 실제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지 여부가 대단히 불투명해진 까닭이다. 미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FRB의 양적완화 조치가 미 경제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달러 약세 및 세계적 인플레로 이어져 경제 운용에 큰 어려움을 안겨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양적완화 조치는 간접적인 환율 조작"이라고 주장하면서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서 이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 일본은 엔고를 저지하기 위해 5조엔에 이르는 독자적 양적완화 조치를 내놓기도 했다. 신흥국들 사이에서도 미국을 성토하는 분위기가 완연하다. 늘어난 달러화가 밀려들면서 자산거품을 일으키고 자국통화가치를 밀어올려 국제경쟁력을 훼손할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시장결정적 환율체제로의 이행과 경쟁적 통화절하 자제를 선언했던 경주합의가 정상회의에서도 그대로 채택될 수 있을지 불투명해진 것도 그런 까닭이다. 이미 중국은 경상수지를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비율 이내로 관리하자는 안에 대해 노골적 불만을 제기했고 독일 같은 무역흑자국들도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시장결정적' 환율체제 또한 그 해석을 두고 각국들 사이에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G20 의장국인 한국의 책임은 과거 어느 때보다 막중해졌다. 만일 환율 문제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글로벌 환율전쟁이 더욱 격화되고, 보호무역주의를 조장하는 결과로 이어질 게 불보듯 뻔하다. 특히 합의 도출을 위해선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대립구도를 해소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이번 정상회의가 가시적 성과물을 내놓으면서 환율전쟁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의장국으로서의 지혜와 중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주기 바란다.
G20 정상회의에도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졌다. 글로벌 환율전쟁을 제어하기 위한 합의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가 높았지만 실제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지 여부가 대단히 불투명해진 까닭이다. 미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FRB의 양적완화 조치가 미 경제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달러 약세 및 세계적 인플레로 이어져 경제 운용에 큰 어려움을 안겨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양적완화 조치는 간접적인 환율 조작"이라고 주장하면서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서 이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 일본은 엔고를 저지하기 위해 5조엔에 이르는 독자적 양적완화 조치를 내놓기도 했다. 신흥국들 사이에서도 미국을 성토하는 분위기가 완연하다. 늘어난 달러화가 밀려들면서 자산거품을 일으키고 자국통화가치를 밀어올려 국제경쟁력을 훼손할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시장결정적 환율체제로의 이행과 경쟁적 통화절하 자제를 선언했던 경주합의가 정상회의에서도 그대로 채택될 수 있을지 불투명해진 것도 그런 까닭이다. 이미 중국은 경상수지를 국내총생산(GDP)의 일정 비율 이내로 관리하자는 안에 대해 노골적 불만을 제기했고 독일 같은 무역흑자국들도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다. '시장결정적' 환율체제 또한 그 해석을 두고 각국들 사이에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G20 의장국인 한국의 책임은 과거 어느 때보다 막중해졌다. 만일 환율 문제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글로벌 환율전쟁이 더욱 격화되고, 보호무역주의를 조장하는 결과로 이어질 게 불보듯 뻔하다. 특히 합의 도출을 위해선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대립구도를 해소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이번 정상회의가 가시적 성과물을 내놓으면서 환율전쟁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의장국으로서의 지혜와 중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