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체감 정년퇴직연령 48.2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정년퇴임 평균 연령은 만 48.2세이며 특히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은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서 정년 때가지 고용안정을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741명을 대상으로 ‘체감정년퇴직 연령’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들이 체감하고 있는 정년퇴임 평균 연령은 48.2세로 직장인들 대다수가 50세 이전에 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는 △공기업이 평균 52.2세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기업 47.8세 △중소/벤처기업 47.3세 △외국계기업 47.2세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정년제도가 계속 유지되길 바라고 있었으나 74.5%는 정년 때까지 ‘고용안정성은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근무기업별로는 △중소/벤처기업이 79.0%로 가장 높았으며, △외국계기업 62.5% △대기업 61.5% △공기업 50.7% 순이었다.
게다가 응답자 중 69.4%는 ‘정년 연령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최소한 정년 연령까지만이라도 안정되게 고용이 보장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그만큼 직장인들이 현재 심각한 고용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실제로 직장인 76.5%가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직장인 절반 정도는 현재 자신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36.4%가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11.7%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자신의 고용상태 불안감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는 직장인은 8.2%였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도 16.2%에 그쳤다.김화수 잡코리아 대표는 “국내 기업의 정년제는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는 것보다는 정년 이후에는 일할 수 없다는 개념이 더 강하다”며 “때문에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정년제도가 있어도 실제로 자신들이 정년 때까지 회사생활을 보장받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심리적인 위안을 받고자 정년제 유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741명을 대상으로 ‘체감정년퇴직 연령’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들이 체감하고 있는 정년퇴임 평균 연령은 48.2세로 직장인들 대다수가 50세 이전에 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는 △공기업이 평균 52.2세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기업 47.8세 △중소/벤처기업 47.3세 △외국계기업 47.2세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정년제도가 계속 유지되길 바라고 있었으나 74.5%는 정년 때까지 ‘고용안정성은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근무기업별로는 △중소/벤처기업이 79.0%로 가장 높았으며, △외국계기업 62.5% △대기업 61.5% △공기업 50.7% 순이었다.
게다가 응답자 중 69.4%는 ‘정년 연령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최소한 정년 연령까지만이라도 안정되게 고용이 보장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그만큼 직장인들이 현재 심각한 고용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실제로 직장인 76.5%가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직장인 절반 정도는 현재 자신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36.4%가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11.7%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자신의 고용상태 불안감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는 직장인은 8.2%였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도 16.2%에 그쳤다.김화수 잡코리아 대표는 “국내 기업의 정년제는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는 것보다는 정년 이후에는 일할 수 없다는 개념이 더 강하다”며 “때문에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정년제도가 있어도 실제로 자신들이 정년 때까지 회사생활을 보장받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심리적인 위안을 받고자 정년제 유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