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법대 첫 아시아계 여성 종신교수 탄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미교포 석지영 박사
미국 하버드대 법대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계 여성 종신교수가 탄생했다. 주인공은 재미교포인 석지영 교수(미국명 지니 석 · 37 · 사진).
하버드 법대 웹사이트는 석 교수가 지난달 14일 교수 투표를 통해 종신교수 임용 절차를 통과했으며 하버드 법대가 이를 최종 수락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웹사이트는 이에 따라 그가 하버드 법대에서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종신교수가 됐다고 덧붙였다.
2006년 조교수로 하버드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한 석씨는 형사법,예술공연과 가정법 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는 법대 웹사이트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하버드는 가장 흥미진진하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 곳"이라며 "이 같은 일을 할 수 있도록 교수 투표에서 종신교수로 통과시켜 준 것은 내게 큰 행운"이라고 말했다.
마서 미노우 법대 학장은 "석 교수의 상상력 넘치고,섬세하며,때로 도발적인 법학 연구는 형사법과 가정법,법과 인간,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석 교수는 6세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왔다. 뉴욕의 명문학교로 알려진 헌터 중 · 고교를 거쳐 예일대에서 문학을 전공한 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어 폴앤드데이지 장학금으로 하버드 법대를 마친 뒤 뉴욕 맨해튼 검찰청 검사,데이비드 수터 연방대법관 서기로 근무한 경력도 있다.
그는 지난해 페미니즘과 가정폭력의 연관성을 다룬 저서 '법속의 가정'이 최우수 법률도서로 선정돼 허버트 제이콥상을 수상했다. 트라우마(정신적 외상)의 법적 구축이라는 논문으로 구겐하임 장학금도 받았다. 매사추세츠 로이어스 위클리로부터는 '최고의 여성 법학자'로 뽑혀 다음 달 시상식을 갖는다.
석 교수는 또 미국 패션 디자이너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으며 예일대와 스탠퍼드 법대의 저널에 기고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하버드 법대 웹사이트는 석 교수가 지난달 14일 교수 투표를 통해 종신교수 임용 절차를 통과했으며 하버드 법대가 이를 최종 수락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웹사이트는 이에 따라 그가 하버드 법대에서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종신교수가 됐다고 덧붙였다.
2006년 조교수로 하버드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한 석씨는 형사법,예술공연과 가정법 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는 법대 웹사이트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하버드는 가장 흥미진진하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 곳"이라며 "이 같은 일을 할 수 있도록 교수 투표에서 종신교수로 통과시켜 준 것은 내게 큰 행운"이라고 말했다.
마서 미노우 법대 학장은 "석 교수의 상상력 넘치고,섬세하며,때로 도발적인 법학 연구는 형사법과 가정법,법과 인간,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석 교수는 6세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왔다. 뉴욕의 명문학교로 알려진 헌터 중 · 고교를 거쳐 예일대에서 문학을 전공한 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어 폴앤드데이지 장학금으로 하버드 법대를 마친 뒤 뉴욕 맨해튼 검찰청 검사,데이비드 수터 연방대법관 서기로 근무한 경력도 있다.
그는 지난해 페미니즘과 가정폭력의 연관성을 다룬 저서 '법속의 가정'이 최우수 법률도서로 선정돼 허버트 제이콥상을 수상했다. 트라우마(정신적 외상)의 법적 구축이라는 논문으로 구겐하임 장학금도 받았다. 매사추세츠 로이어스 위클리로부터는 '최고의 여성 법학자'로 뽑혀 다음 달 시상식을 갖는다.
석 교수는 또 미국 패션 디자이너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으며 예일대와 스탠퍼드 법대의 저널에 기고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