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에서는 금융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자는 합의도 이뤄냈다. 부패를 척결하기 위한 내용도 서울선언에 담았다. 이들 의제는 환율이나 경상수지 같은 '핫 이슈'에 가려 주목을 덜 받았지만 G20이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균형 성장'을 달성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다.

◆양극화 해소

금융 소외계층이란 국가로 따지면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기업 규모로 따지면 중소기업을 말한다. 서울선언은 "G20 회원국과 관련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포괄적 협력체제인 '금융 소외계층 포용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FI)'을 발족하겠다"는 문구를 담았다. GPFI는 각국의 금융 소외계층 관련 정책을 지원하고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론을 개발하게 된다. 작업 진전 사항은 내년 프랑스 정상회의에 보고하도록 했다. 또 중소기업의 고용과 소득 창출을 돕기 위해 한국과 미국 캐나다 미주개발은행(IDB)이 지원하는 5억2800만달러 상당의 '중소기업 자금지원 혁신기금'도 조성키로 했다.

◆화석연료 보조금 점진적 철폐

화석연료 보조금 철폐는 지난해 9월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에너지와 기후변화 문제의 한 가지로 다뤄졌다. 이번 서울 정상회의에서 내용이 한층 강화됐다. 서울선언은 "낭비적 소비를 조장하는 비효율적 화석연료 보조금을 중기에 걸쳐 국별 상황에 따른 일정으로 합리화하고 단계적으로 철폐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한다"며 보조금의 단계적 철폐 목표 달성과 이행 상황을 내년 프랑스 정상회의에 보고하기로 했다.

◆부패 없애 효율성 높이기로

G20은 각국이 부패를 척결하는 강력한 조치를 도입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속 가능한 성장과 개발이 가능해지려면 경제 시스템의 비효율을 야기하는 부패를 퇴치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G20은 정상선언문 부속서에서 각국이 이행할 9개 항목의 'G20 반부패 행동계획'을 발표했다. △G20 국가들이 가능한 빨리 국제연합(UN)반부패협약에 가입 또는 비준하고 △외국 공무원의 뇌물수수 등을 방지하는 국제 뇌물방지 법률을 채택하고 △부패 공무원이 국제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돈세탁'에 관련되는 것을 차단하고 △부패 공무원의 도피와 재산 은닉을 막도록 하는 협력 체제 구축 등이다. G20이 부패 척결의 의지를 다지면서 앞으로 회원국별로 부패를 줄이기 위한 후속 조치가 잇따를 전망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