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사진)는 12일 "경상수지 상한제를 설정하는 것보다 예시적 가이드라인을 정하자는 얘기가 나왔다"며 "우리는 앞으로 6개월 동안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만들 것이며,내년 하반기에 이 플랜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로스칸 총재는 서울 G20 정상회의 둘째날인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IMF는 G20 정상들의 합의로 경상수지 관련 예시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작업을 위임받아 세계 경제 불균형 해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됐다.

그는 예시적 가이드라인에 대해 "감시 툴(도구)이라고 볼 수 있다"며 "가이드라인 설정 초반엔 IMF가 각국의 (재정) 정보를 모으고 감시하는 것에 대해 싫어하는 국가들도 있겠지만 피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든 국가의 정책 당국자들은 자국의 경제 발전이 우선 과제"라며 "일각에선 회의적인 의견도 있겠지만 1~2년 후의 성과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 이내 수준에서 경상수지를 관리하자'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각 나라가 처한 환경에 따라 4%란 수치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며 "석유 수출국과 수입국의 입장이 다르며 적자가 많은 신흥국과 재정이 풍부한 선진국의 생각이 또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가 간 불균형을 어떻게 조정해 나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상당히 복잡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래서 여러 가지 길이 파생되고 우리는 다양한 요소를 감안해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재정위기에 처한 아일랜드에 대해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모든 이가 아일랜드 사태에 대해 알고 있고 어떻게 시장이 반응하는지 목도했다"며 "하지만 지난 몇 주간 아일랜드와 접촉이 없었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