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정책 리스크' 커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ews+] G20 이후
선진국 '부양' 신흥국 '긴축'…금융시장 불안 지속될 듯
선진국 '부양' 신흥국 '긴축'…금융시장 불안 지속될 듯
주요 20개국(G20)은 지난 11일과 12일 서울 정상회의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신흥국의 자본 유출입 규제를 인정하는 등 글로벌 환율전쟁을 피하기 위한 타협책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선진국 경기가 계속 나빠지고 중국 인도 브라질 한국 등 신흥국들은 물가 불안을 차단하기 위한 긴축 정책이 요구되는 '디커플링'으로 인해 각국의 경제정책 충돌이 우려된다. G20 회의는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지만 각국의 정책 리스크는 오히려 더 커져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당장 미국이 더블 딥(경기 일시 회복 후 재침체)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0%(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돼 2분기 1.7%보다는 높아졌지만 1분기 3.7%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2차 양적완화 규모로 6000억달러를 결정했지만 미국 내에선 부족하다는 인식이 많다. 영국의 경제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는 내년 하반기 3차 양적완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일본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에 따른 물가 하락)을 걱정하고 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는 19개월 연속 하락했다. EU는 회복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의 재정위기가 불거지고 있다. 구제금융을 새로 실시해야 할 처지다.
반면 신흥국의 대표주자로 주요 2개국(G2)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정반대 상황이다. 올 들어 3분기까지 10% 이상(누적기준) 고속성장을 이어가다 보니 물가 불안과 집값 급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4%로 정부의 억제 목표치 3%를 훨씬 웃돌았다. 이 때문에 정책금리와 지급준비율 추가 인상,대출 억제 강화 등 긴축의 고삐를 더욱 당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사정이 비슷한 인도도 정책금리 인상을 지속할 전망이다. 브라질은 외국자본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국은 물가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과 외자 유입 규제 실시 등 투 트랙 대응을 예고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하지만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선진국 경기가 계속 나빠지고 중국 인도 브라질 한국 등 신흥국들은 물가 불안을 차단하기 위한 긴축 정책이 요구되는 '디커플링'으로 인해 각국의 경제정책 충돌이 우려된다. G20 회의는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지만 각국의 정책 리스크는 오히려 더 커져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당장 미국이 더블 딥(경기 일시 회복 후 재침체)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0%(전기 대비 연율)로 집계돼 2분기 1.7%보다는 높아졌지만 1분기 3.7%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2차 양적완화 규모로 6000억달러를 결정했지만 미국 내에선 부족하다는 인식이 많다. 영국의 경제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는 내년 하반기 3차 양적완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일본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에 따른 물가 하락)을 걱정하고 있다. 일본의 소비자물가는 19개월 연속 하락했다. EU는 회복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의 재정위기가 불거지고 있다. 구제금융을 새로 실시해야 할 처지다.
반면 신흥국의 대표주자로 주요 2개국(G2)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정반대 상황이다. 올 들어 3분기까지 10% 이상(누적기준) 고속성장을 이어가다 보니 물가 불안과 집값 급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4%로 정부의 억제 목표치 3%를 훨씬 웃돌았다. 이 때문에 정책금리와 지급준비율 추가 인상,대출 억제 강화 등 긴축의 고삐를 더욱 당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사정이 비슷한 인도도 정책금리 인상을 지속할 전망이다. 브라질은 외국자본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국은 물가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과 외자 유입 규제 실시 등 투 트랙 대응을 예고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