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정부가 난민 수용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브라질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가 1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는 유엔 등 국제사회의 요청을 받아들여 난민 수용 규모를 늘리기 위한 관련 법규 정비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난민 관련 미주지역 회의에 참석한 유엔 난민최고대표사무소(UNHCR) 관계자는 브라질의 난민 수용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브라질이 난민 수용을 늘릴 경우 다른 국가에도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루이스 파울로 바헤토 브라질 법무장관은 "브라질이 아프리카와 중동 등 분쟁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점이 난민 수용의 장벽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법무부 산하 난민위원회(Conare)의 자료에 따르면 브라질에는 현재 76개국에서 온 4천311명의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출신국가는 앙골라가 1천686명으로 가장 많고 콜롬비아 592명, 콩고민주공화국 431명, 라이베리아 258명, 이라크 201명, 쿠바 133명 등이다.

브라질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50년대부터 인권보호 차원에서 난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을 보여 왔다.

그러나 남미 지역에서 군사독재정권이 득세하던 1964~1985년에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파라과이 등 인접국 군사정권과의 관계를 고려해 난민 수용을 거부하기도 했다.

한편 남미지역에서 난민이 가장 많이 발생한 국가는 콜롬비아로, 현재 380만명이 각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인접국 에콰도르에만 50만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대부분 콜롬비아 정부군과 좌익 게릴라 조직 간의 무력충돌을 피해 국경을 넘어 탈출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