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5원 치솟은 1144원…당분간 상승세 이어질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금융시장 또 출렁
유럽위기 여파 안전자산 선호
한국 경제 견조한 성장세
내년엔 환율 하락 가능성
유럽위기 여파 안전자산 선호
한국 경제 견조한 성장세
내년엔 환율 하락 가능성
17일 서울 외환시장은 개장 전부터 분위기가 싸늘했다. 전날 미국 다우존스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한데다 달러에 대한 엔화와 유로화 가치가 급락한 탓이다. 중국의 긴축에다 아일랜드에 대한 구제금융이 불가피하다는 소식이 겹친 결과다. 우리은행은 일일전망 자료를 통해 원 · 달러 환율이 10원 이상 뛰어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전 9시 시장이 열리자 원 · 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원 오른 1138원50전에 거래가 시작됐다. 오후 2시까지는 외국인의 달러 매수와 국내 수출업체들의 달러매도 주문 공방으로 원 · 달러 환율은 1134~1138원 수준에서 움직였다. 오후 2시 이후엔 증시에서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에다 국내 은행권의 손절매성 달러 매수가 한꺼번에 나와 전날보다 15원40전 치솟은 1144원90전에 거래가 마감됐다. 이날 원 · 달러 환율 종가는 지난 9월28일(1146원30전)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외환시장에선 서울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 이전에 형성됐던 원화강세 흐름이 바뀐 것 같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1200원 가능성도 배제 못해"
원 · 달러 환율은 지난 5월 초 그리스 재정위기 사태로 5월 말 1250원 이상으로 치솟았지만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움직임을 계기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6000억달러 규모의 2차 양적완화를 결정하고 서울 G20 정상회의 첫날인 11일 외국자본 유입 규제가 공식적으로 언급되면서 1110원 아래로까지 떨어졌다.
원 · 달러 환율 흐름이 급반전한 것은 지난 12일부터다. 12일 하루에만 20원 가까이 뛰었으며 15일과 16일 소폭 상승과 소폭 하락한 뒤 17일 다시 급등했다. 4거래일 동안 원 · 달러 환율은 37원이나 올랐다.
이처럼 원 · 달러 환율이 상승흐름으로 돌아선 것은 그간 하락폭이 컸다는 점과 중국 긴축 및 아일랜드 사태를 계기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다시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FRB가 2차 양적완화를 발표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선 그간 달러 하락폭이 과도했다는 인식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FRB의 양적완화 직후 이슈가 된 중국의 긴축과 아일랜드 사태로 위험자산 투자심리는 크게 악화됐다.
이에 따라 유로화는 지난 5일 1.42달러를 기록했지만 이날 1.34달러대로 내려앉았다. 엔화 역시 지난 1일 달러당 80.3엔대에서 이날 83엔 중반까지 올랐다. 원 · 달러 환율은 여기에 외자유입 규제 방침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진우 NH선물 리서치센터장은 "유로화 가치는 1.30달러 수준,엔화가치는 85~87엔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원 · 달러 환율도 1200원 이상 오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긴축,아일랜드 문제,외국자본 유입규제 방침 등을 감안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는 원 · 달러 환율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엔 환율하락 전망 우세
하지만 중장기 추세로 봤을 때 원화가치는 여전히 상승(원 · 달러 환율은 하락)하고 있다는 진단이 우세하다. 우선 한국의 성장률이 올해 6% 수준에 이어 내년에도 4.5%(한국은행 전망)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는 등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 유로존 등의 최근 성장률이 둔화되는 모습과는 180도 다르다.
이와 더불어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예상돼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3%)를 웃돌 전망이어서 정책금리(한은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리가 높아지면 외국 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환율은 하락 압박을 받게 된다.
이창선 LG경제연구소 금융연구실장은 "환율은 긴 추세로 봤을 때 펀더멘털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내년 평균 환율을 1070원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역시 내년 환율이 1100원 아래로 내려갈 것이며 105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오전 9시 시장이 열리자 원 · 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원 오른 1138원50전에 거래가 시작됐다. 오후 2시까지는 외국인의 달러 매수와 국내 수출업체들의 달러매도 주문 공방으로 원 · 달러 환율은 1134~1138원 수준에서 움직였다. 오후 2시 이후엔 증시에서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에다 국내 은행권의 손절매성 달러 매수가 한꺼번에 나와 전날보다 15원40전 치솟은 1144원90전에 거래가 마감됐다. 이날 원 · 달러 환율 종가는 지난 9월28일(1146원30전)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외환시장에선 서울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 이전에 형성됐던 원화강세 흐름이 바뀐 것 같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1200원 가능성도 배제 못해"
원 · 달러 환율은 지난 5월 초 그리스 재정위기 사태로 5월 말 1250원 이상으로 치솟았지만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움직임을 계기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6000억달러 규모의 2차 양적완화를 결정하고 서울 G20 정상회의 첫날인 11일 외국자본 유입 규제가 공식적으로 언급되면서 1110원 아래로까지 떨어졌다.
원 · 달러 환율 흐름이 급반전한 것은 지난 12일부터다. 12일 하루에만 20원 가까이 뛰었으며 15일과 16일 소폭 상승과 소폭 하락한 뒤 17일 다시 급등했다. 4거래일 동안 원 · 달러 환율은 37원이나 올랐다.
이처럼 원 · 달러 환율이 상승흐름으로 돌아선 것은 그간 하락폭이 컸다는 점과 중국 긴축 및 아일랜드 사태를 계기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다시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FRB가 2차 양적완화를 발표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선 그간 달러 하락폭이 과도했다는 인식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FRB의 양적완화 직후 이슈가 된 중국의 긴축과 아일랜드 사태로 위험자산 투자심리는 크게 악화됐다.
이에 따라 유로화는 지난 5일 1.42달러를 기록했지만 이날 1.34달러대로 내려앉았다. 엔화 역시 지난 1일 달러당 80.3엔대에서 이날 83엔 중반까지 올랐다. 원 · 달러 환율은 여기에 외자유입 규제 방침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진우 NH선물 리서치센터장은 "유로화 가치는 1.30달러 수준,엔화가치는 85~87엔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원 · 달러 환율도 1200원 이상 오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긴축,아일랜드 문제,외국자본 유입규제 방침 등을 감안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는 원 · 달러 환율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엔 환율하락 전망 우세
하지만 중장기 추세로 봤을 때 원화가치는 여전히 상승(원 · 달러 환율은 하락)하고 있다는 진단이 우세하다. 우선 한국의 성장률이 올해 6% 수준에 이어 내년에도 4.5%(한국은행 전망)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는 등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 유로존 등의 최근 성장률이 둔화되는 모습과는 180도 다르다.
이와 더불어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예상돼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3%)를 웃돌 전망이어서 정책금리(한은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리가 높아지면 외국 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환율은 하락 압박을 받게 된다.
이창선 LG경제연구소 금융연구실장은 "환율은 긴 추세로 봤을 때 펀더멘털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내년 평균 환율을 1070원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역시 내년 환율이 1100원 아래로 내려갈 것이며 105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