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언어 EBS 연계율 72%…난이도 작년과 비슷”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본부는 18일 1교시 언어영역 시험의 난이도를 전년도 수능과 비슷하게 유지했다고 밝혔다.또 50문항 가운데 EBS 교재와 강의에서 36문항을 연계 출제해 연계율은 72%라고 자체 분석했다.
출제본부 측은 언어영역 지문 길이는 그동안 시험과 비슷하게 유지하되 비문학 지문의 길이는 다양하게 했고 이에 따라 문항 수도 조절했다고 설명했다.문제 형식은 평가 목표에 충실한 문항을 출제하는 데 초점을 둬 지나치게 복잡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등급 분포를 고르게 만들기 위해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을 적절히 섞었다고 설명했다.
출제본부 측은 “폭넓고 다양한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범교과적 소재를 활용했고 시사성이 있는 소재도 다뤄 학생들이 폭넓은 관점을 가지도록 유도했다”고 덧붙였다.다음은 출제본부 측이 밝힌 문항 유형별 설명이다.
◆듣기
이야기,방송,대화,토의 등 다양한 유형의 담화를 활용해 출제,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강조했다.다루는 소재도 교훈,혈액 순환,비상시 대피 요령,도서관 등으로 다양화했다.
1번은 이야기를 듣고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고,2번은 라디오 방송의 일부를 듣고 방송에서 들려준 내용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3번은 아빠와 딸의 대화를 통해 대화의 내용을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4번과 5번에서는 도서관 운영의 개선에 대한 토의의 일부를 듣고 발표자의 말하기 방식과 토의에 반영된 내용을 추론할 수 있는지를 각각 평가했다.
◆쓰기
실제적인 글쓰기 상황에서의 논리성과 창의성을 강조했다.6번은 가야금 장인과의 대담 내용에 착안하여 좋은 문학 작품의 창작에 대한 글쓰기 내용을 연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고,7번은 ‘리셋 증후군’의 증상과 예방에 대한 글을 교지에 싣고자 할 때 글쓰기 계획 단계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8번은 ‘우리 학교 직업 체험 활동의 내실화’라는 주제로 쓴 글의 개요를 논리적인 조직 원리에 맞게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9번과 10번은 ‘폐휴대전화 수거 운동’에 동참할 것을 권유하는 글의 초고를 대상으로 단어,문장,문단,글 수준에서 글을 적절하게 고쳐 쓸 수 있는 능력과 조건에 맞게 홍보 문구를 작성하는 능력을 각각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번 수능에서도 쓰기 과제와 관련된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용 생성, 조직, 표현하기, 고쳐 쓰기 등 쓰기의 각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문항을 안배하였다.
◆어휘·어법
지식의 단순한 이해보다는 지식의 적용과 탐구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특히 정확한 언어 구사를 바탕으로 한 규칙의 발견을 강조했고 탐구 결과가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각 지문과 연계된 어휘 문항들은 정확한 의미 이해와 세밀한 의미 변별을 주로 평가했다.
◆비문학 읽기
중국 정(鄭)나라의 재상 자산(子産)이 추진한 개혁에 대해 소개한 인문 지문,전통적인 철학적 미학과 체계 이론 미학을 뮤지컬에 적용하여 대조적으로 설명한 예술 지문이 인용됐다.배열,연결 리스트,이중 연결 리스트 등 컴퓨터의 여러 가지 자료 구조에 대해 설명한 기술 지문,그레고리력으로 역법을 개혁하게 된 배경과 그레고리력의 특성을 설명한 과학 지문,언어 변화로 인해 단어의 짜임새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를 소개한 언어 지문,채권의 가격 결정 요인에 대해 설명한 지문도 들어있다.
각 지문별 문항에서는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고 추론·비판하며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했다.특히 제시된 지문의 핵심 정보를 정확하게 독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들을 중점적으로 출제했다.
예를 들어 25,32,37번은 지문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고 21,34번은 글의 핵심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18,45번 문항과 지문에 제시된 개념이나 원리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거나 다른 상황에 유추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22,23,35,38,46번 문항,그리고 적절한 비판을 찾는 능력을 평가하는 19번 문항 등은 심화된 읽기 능력을 필요로 한다.
◆문학 읽기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룬 작품과 EBS 수능 방송,교재 외에도 새로운 작품까지 적절하게 안배해 출제했다.
현대시 지문으로는 자화상(自畵像)(윤동주),선제리 아낙네들(고은),그 나무(김명인)를 선정했다.현대소설은 나상(裸像)(이호철)을,고전소설은 운영전(작자 미상),고전시가와 수필의 복합 지문으로는 상춘곡(賞春曲)(작자 미상),율리유곡(栗里遺曲)(김광욱),범희문회서도원림(范希文懷西都園林)(박규수)이 나왔다.
학생들에게 익숙한 작품과 낯선 작품을 적절히 섞어 출제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실제적인 문학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각 지문별 문항을 통해서는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자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15,16,27,41,47,48번은 자세한 읽기를 강조한 문항이고 13,30,40번은 비판적이고 종합적인 감상을 강조한 문항이다.14,28,43,49번 문항은 다른 자료와 관련지어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고,31번은 관점을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42번은 창작 취지를 다른 장르로 변용해 창의적으로 내용을 생성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출제본부 측은 언어영역 지문 길이는 그동안 시험과 비슷하게 유지하되 비문학 지문의 길이는 다양하게 했고 이에 따라 문항 수도 조절했다고 설명했다.문제 형식은 평가 목표에 충실한 문항을 출제하는 데 초점을 둬 지나치게 복잡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등급 분포를 고르게 만들기 위해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을 적절히 섞었다고 설명했다.
출제본부 측은 “폭넓고 다양한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범교과적 소재를 활용했고 시사성이 있는 소재도 다뤄 학생들이 폭넓은 관점을 가지도록 유도했다”고 덧붙였다.다음은 출제본부 측이 밝힌 문항 유형별 설명이다.
◆듣기
이야기,방송,대화,토의 등 다양한 유형의 담화를 활용해 출제,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강조했다.다루는 소재도 교훈,혈액 순환,비상시 대피 요령,도서관 등으로 다양화했다.
1번은 이야기를 듣고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고,2번은 라디오 방송의 일부를 듣고 방송에서 들려준 내용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3번은 아빠와 딸의 대화를 통해 대화의 내용을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4번과 5번에서는 도서관 운영의 개선에 대한 토의의 일부를 듣고 발표자의 말하기 방식과 토의에 반영된 내용을 추론할 수 있는지를 각각 평가했다.
◆쓰기
실제적인 글쓰기 상황에서의 논리성과 창의성을 강조했다.6번은 가야금 장인과의 대담 내용에 착안하여 좋은 문학 작품의 창작에 대한 글쓰기 내용을 연상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고,7번은 ‘리셋 증후군’의 증상과 예방에 대한 글을 교지에 싣고자 할 때 글쓰기 계획 단계에서 여러 가지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8번은 ‘우리 학교 직업 체험 활동의 내실화’라는 주제로 쓴 글의 개요를 논리적인 조직 원리에 맞게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이다.9번과 10번은 ‘폐휴대전화 수거 운동’에 동참할 것을 권유하는 글의 초고를 대상으로 단어,문장,문단,글 수준에서 글을 적절하게 고쳐 쓸 수 있는 능력과 조건에 맞게 홍보 문구를 작성하는 능력을 각각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번 수능에서도 쓰기 과제와 관련된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용 생성, 조직, 표현하기, 고쳐 쓰기 등 쓰기의 각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문항을 안배하였다.
◆어휘·어법
지식의 단순한 이해보다는 지식의 적용과 탐구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특히 정확한 언어 구사를 바탕으로 한 규칙의 발견을 강조했고 탐구 결과가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각 지문과 연계된 어휘 문항들은 정확한 의미 이해와 세밀한 의미 변별을 주로 평가했다.
◆비문학 읽기
중국 정(鄭)나라의 재상 자산(子産)이 추진한 개혁에 대해 소개한 인문 지문,전통적인 철학적 미학과 체계 이론 미학을 뮤지컬에 적용하여 대조적으로 설명한 예술 지문이 인용됐다.배열,연결 리스트,이중 연결 리스트 등 컴퓨터의 여러 가지 자료 구조에 대해 설명한 기술 지문,그레고리력으로 역법을 개혁하게 된 배경과 그레고리력의 특성을 설명한 과학 지문,언어 변화로 인해 단어의 짜임새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를 소개한 언어 지문,채권의 가격 결정 요인에 대해 설명한 지문도 들어있다.
각 지문별 문항에서는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고 추론·비판하며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했다.특히 제시된 지문의 핵심 정보를 정확하게 독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들을 중점적으로 출제했다.
예를 들어 25,32,37번은 지문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고 21,34번은 글의 핵심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18,45번 문항과 지문에 제시된 개념이나 원리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거나 다른 상황에 유추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22,23,35,38,46번 문항,그리고 적절한 비판을 찾는 능력을 평가하는 19번 문항 등은 심화된 읽기 능력을 필요로 한다.
◆문학 읽기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룬 작품과 EBS 수능 방송,교재 외에도 새로운 작품까지 적절하게 안배해 출제했다.
현대시 지문으로는 자화상(自畵像)(윤동주),선제리 아낙네들(고은),그 나무(김명인)를 선정했다.현대소설은 나상(裸像)(이호철)을,고전소설은 운영전(작자 미상),고전시가와 수필의 복합 지문으로는 상춘곡(賞春曲)(작자 미상),율리유곡(栗里遺曲)(김광욱),범희문회서도원림(范希文懷西都園林)(박규수)이 나왔다.
학생들에게 익숙한 작품과 낯선 작품을 적절히 섞어 출제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실제적인 문학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각 지문별 문항을 통해서는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자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15,16,27,41,47,48번은 자세한 읽기를 강조한 문항이고 13,30,40번은 비판적이고 종합적인 감상을 강조한 문항이다.14,28,43,49번 문항은 다른 자료와 관련지어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고,31번은 관점을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42번은 창작 취지를 다른 장르로 변용해 창의적으로 내용을 생성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