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영 대표, 한미FTA 극히 제한된 부분만 다룰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외교통상부 최석영 자유무역협정(FTA) 교섭대표는 향후 예정된 한·미 간 FTA 추가협상에서 자동차 이외 다른 부분을 다루더라도 ‘전면 재협상’이 아니라 극히 제한된 부분만을 다룰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최 대표는 또 정부가 향후 협상에서 ‘이익의 균형’ 확보에 최대 중점을 둘 것이라며 “이익의 균형이 확보되지 않고 상호 수용할 수 없으면 어떤 협상 결과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날 한·미 FTA 협상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한미 간 통상장관회의에서 미측이 제시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선 주고받기식 협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또 향후 협상에서 다룰 논의 범위에 대해선 “전면 재협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극히 제한된 부분에 대한 주고받기식의 협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협상의 기본방침은 이익의 균형”이라면서 “자동차 분야 안에서도 이익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분야가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그밖의 다른 영역을 통해서도 이익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그래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그러나 자동차 분야에 대한 미국의 요구에 맞서 정부가 제기한 다른 영역에 대해선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그는 향후 한미 간 FTA 추가협상 일정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최 대표는 또 정부가 향후 협상에서 ‘이익의 균형’ 확보에 최대 중점을 둘 것이라며 “이익의 균형이 확보되지 않고 상호 수용할 수 없으면 어떤 협상 결과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날 한·미 FTA 협상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통해 “한미 간 통상장관회의에서 미측이 제시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선 주고받기식 협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또 향후 협상에서 다룰 논의 범위에 대해선 “전면 재협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극히 제한된 부분에 대한 주고받기식의 협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협상의 기본방침은 이익의 균형”이라면서 “자동차 분야 안에서도 이익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분야가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그밖의 다른 영역을 통해서도 이익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그래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그러나 자동차 분야에 대한 미국의 요구에 맞서 정부가 제기한 다른 영역에 대해선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그는 향후 한미 간 FTA 추가협상 일정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