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차이나 리스크'] 신흥국 무역장벽 커져 '차이나 아웃'도 어렵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이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것이다. 인도 브라질 등 중국을 대체할 만한 신흥 시장 개척을 확대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하지만 현실의 벽은 만만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도는 1995년부터 작년까지 596건에 달하는 반덤핑 조사를 개시,미국(440건)을 앞설 정도로 자국 시장을 깐깐하게 챙기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도 올 들어 24건의 반덤핑 조사를 받았다. 브라질도 최근 자국 기업 우선 정책을 노골적으로 내세우면서 외자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인도의 한국 기업에 대한 반덤핑 제재가 화학 및 철강제품에 집중돼 왔지만 최근 고무,섬유류,전자제품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도 우려할 대목이다. 스테인리스강,폴리프로필렌,TV 픽처튜브와 같은 주력 수출품목도 포함돼 있어 관련 기업들이 속을 앓고 있다.
브라질 시장 역시 침투가 쉽지 않다. 브라질 정부가 자국 산업 육성에 골몰하면서 수입 규제에 나서고 있는 탓이다. 자동차 분야가 대표적인 사례다. 올해 수입차 시장에서 한국산이 4분의 1에 달할 정도로 수입이 급증하자 지난 6월 브라질 연방 국세청이 수입 대행업체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하지만 현실의 벽은 만만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도는 1995년부터 작년까지 596건에 달하는 반덤핑 조사를 개시,미국(440건)을 앞설 정도로 자국 시장을 깐깐하게 챙기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도 올 들어 24건의 반덤핑 조사를 받았다. 브라질도 최근 자국 기업 우선 정책을 노골적으로 내세우면서 외자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인도의 한국 기업에 대한 반덤핑 제재가 화학 및 철강제품에 집중돼 왔지만 최근 고무,섬유류,전자제품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도 우려할 대목이다. 스테인리스강,폴리프로필렌,TV 픽처튜브와 같은 주력 수출품목도 포함돼 있어 관련 기업들이 속을 앓고 있다.
브라질 시장 역시 침투가 쉽지 않다. 브라질 정부가 자국 산업 육성에 골몰하면서 수입 규제에 나서고 있는 탓이다. 자동차 분야가 대표적인 사례다. 올해 수입차 시장에서 한국산이 4분의 1에 달할 정도로 수입이 급증하자 지난 6월 브라질 연방 국세청이 수입 대행업체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