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으로 TV 켜고 채널 바꾸고 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T, 중증장애인용 TV제어 앱 개발
TV 조작이 힘들던 전신 마비 환자 등 중증 장애인도 호흡만으로 TV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T(회장 이석채)는 서울대학교 이상묵 교수팀과 공동으로 TV 채널이나 볼륨 조작을 자력으로 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셋톱박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앱은 별도의 장비구축이나 기존 장비 교체없이 IPTV 셋톱박스의 USB단자에 장애인용 구강 마우스 등 특정 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비싸게 추가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치를 연결한 후에는 마우스를 길게 불어 TV를 켜고 또 한번 불어 채널을 이동할 수 있는 등 제어 또한 간편하다. 채널모드에서 불륨모드로 바꿀때는 마우스를 2-3초 길게 들이마시면 되고, 이 모드에서 불면 소리가 커지고 반대로 흡입하면 소리를 작게 할 수도 있다.
KT 관계자는 "중증 장애인들이 불고 들이마시기 등의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IP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면에서 개발 의의가 있다"면서 "대부분의 장애인 전용기기 가격이 비싼 편인데 반해 이번 앱은 기존 셋톱박스 장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획기적"이라고 말했다.
KT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에 약 40여만명 이상의 중증 장애인에게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IPTV를 활용한 자력으로 교육 콘텐츠 시청이 가능해져 보편적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애인 보조기구와 IPTV 셋톱박스를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중증장애인 대상 상용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
TV 조작이 힘들던 전신 마비 환자 등 중증 장애인도 호흡만으로 TV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T(회장 이석채)는 서울대학교 이상묵 교수팀과 공동으로 TV 채널이나 볼륨 조작을 자력으로 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셋톱박스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앱은 별도의 장비구축이나 기존 장비 교체없이 IPTV 셋톱박스의 USB단자에 장애인용 구강 마우스 등 특정 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비싸게 추가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치를 연결한 후에는 마우스를 길게 불어 TV를 켜고 또 한번 불어 채널을 이동할 수 있는 등 제어 또한 간편하다. 채널모드에서 불륨모드로 바꿀때는 마우스를 2-3초 길게 들이마시면 되고, 이 모드에서 불면 소리가 커지고 반대로 흡입하면 소리를 작게 할 수도 있다.
KT 관계자는 "중증 장애인들이 불고 들이마시기 등의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IP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면에서 개발 의의가 있다"면서 "대부분의 장애인 전용기기 가격이 비싼 편인데 반해 이번 앱은 기존 셋톱박스 장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획기적"이라고 말했다.
KT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에 약 40여만명 이상의 중증 장애인에게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IPTV를 활용한 자력으로 교육 콘텐츠 시청이 가능해져 보편적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애인 보조기구와 IPTV 셋톱박스를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중증장애인 대상 상용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