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가 어제 우리금융 민영화 입찰참가의향서(LOI) 접수를 마감한 결과 우리금융이 주축이된 2개 컨소시엄 외에 미국계 사모펀드인 칼라일과 국내 사모펀드인 보고펀드 등 모두 11곳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경남은행에는 5개,광주은행 7개 등 모두 23곳이 LOI를 제출했다고 한다. 복수의 투자자가 인수의사를 밝힘에 따라 일단 유효경쟁 입찰구도는 형성됐고 우리금융 민영화의 막이 본격 올랐다. 하나금융지주외환은행 인수로 우리금융 민영화는 국내 금융산업의 판도를 바꾸게 될 마지막 빅 카드가 됐다.금융계의 가장 큰 관심사안이 아닐 수 없다.

예금보험공사 보유 지분(56.97%) 전량을 인수하겠다고 밝힌 2개의 우리금융이 컨소시엄이 일단 유력한 후보인 것으로 보인다. 칼라일과 보고펀드 등은 우리금융 지분 일부 매입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LOI는 단순한 인수 의향만 밝히는 단계인 만큼 우리금융 매각 유효경쟁 입찰 여부는 인수물량과 인수가격 등을 제출하는 내달 예비입찰을 실시한 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정부는 조기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 등 민영화 3원칙이 지켜진다면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유효경쟁입찰구도가 형성됐다고 해도 매각금액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입찰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우리금융 민영화는 더 이상 시간을 끌어서는 곤란하다.공적자금 회수는 물론 중요하지만 조기 민영화가 우선돼야한다는 게 우리 생각이다. 그동안 우리금융이 잦은 지배구조 변경과 경영진 교체, 정부의 과다한 간섭, 단기실적 추구 등으로 몸살을 앓아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상태로는 경쟁력을 갖추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중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세울 수도 없음은 당연하다. 더욱이 총자산 285조원으로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우리금융이 이런 상태로 장기간 방치될 경우 우리나라 금융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열린 ‘금융회사 민영화와 금융산업 발전 방안 세미나’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보다는 조기 민영화를 통해 경영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다수 참가자에 의해 제기된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이번에는 반드시 우리금융 민영화에 마침표를 찍는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종 단계에서 설사 입찰이 무산되더라도 블록세일 등을 통해서라도 정부 지분을 계속 낮추는 작업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더 이상 우리금융이 정부와 정치권의 영향력에 휘둘려 속으로 멍만 드는 일이 반복돼서는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