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증시, 하락…'유럽 재정위기 확산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일랜드의 재정위기가 스페인, 포르투갈로 확산될 것이라는 불안감에 뉴욕증시가 2거래일째 하락했다.
29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전날보다 39.51포인트(0.36%) 내린 11052.4로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1.64포인트(0.14%) 떨어진 1187.76을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9.34포인트(0.37%) 하락한 2525.22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는 유럽연합(EU)의 아일랜드 구제금융 방안 승인에도 불구하고 재정위기가 남유럽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장 초반부터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1000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다만 오후들어 경제지표 개선에 대한 기대감에 저가매수세가 들어오면서 낙폭이 축소됐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이날 ING그룹 주최로 열린 한 강연회에서 아일랜드 다음 구제금융 타자가 "포르투갈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스페인은 '큰 코끼리'같아서 스페인이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유럽연합(EU)의 지원 자금이 부족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유럽발 악재가 증시에 부담을 주면서 추수감사절 연휴에도 불구하고 소매업종은 크게 오르지 못했다.
전미소매업협회는 주말 동안 소매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6.4% 증가했다고 밝혔다. 2억1200만명이 일반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했으며 일인당 평균 구매액은 365.34달러였다. 이날 아마존은 1.3% 상승한 반면 맥시는 2.2% 하락했다.
은행업종은 S&P500지수 중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헌팅턴 뱅크셰어스는 4.3%, 웰스파고는 2.1%,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7% 내렸다.
HP는 마크 허드 전 최고운영자(CEO)의 사임에 관한 주주들의 소송이 제기돼 1.4% 떨어졌다.
비자는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가 늘어나면서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에 주가가 1.7% 빠졌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1월물은 전날보다 1.97달러(2.4%) 상승한 배럴당 85.73달러를 기록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
29일(현지시간) 미국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전날보다 39.51포인트(0.36%) 내린 11052.4로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1.64포인트(0.14%) 떨어진 1187.76을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9.34포인트(0.37%) 하락한 2525.22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는 유럽연합(EU)의 아일랜드 구제금융 방안 승인에도 불구하고 재정위기가 남유럽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장 초반부터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1000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다만 오후들어 경제지표 개선에 대한 기대감에 저가매수세가 들어오면서 낙폭이 축소됐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이날 ING그룹 주최로 열린 한 강연회에서 아일랜드 다음 구제금융 타자가 "포르투갈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스페인은 '큰 코끼리'같아서 스페인이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유럽연합(EU)의 지원 자금이 부족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유럽발 악재가 증시에 부담을 주면서 추수감사절 연휴에도 불구하고 소매업종은 크게 오르지 못했다.
전미소매업협회는 주말 동안 소매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6.4% 증가했다고 밝혔다. 2억1200만명이 일반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을 방문했으며 일인당 평균 구매액은 365.34달러였다. 이날 아마존은 1.3% 상승한 반면 맥시는 2.2% 하락했다.
은행업종은 S&P500지수 중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헌팅턴 뱅크셰어스는 4.3%, 웰스파고는 2.1%,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7% 내렸다.
HP는 마크 허드 전 최고운영자(CEO)의 사임에 관한 주주들의 소송이 제기돼 1.4% 떨어졌다.
비자는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가 늘어나면서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에 주가가 1.7% 빠졌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1월물은 전날보다 1.97달러(2.4%) 상승한 배럴당 85.73달러를 기록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