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제지, 상승 모멘텀 부족…목표가↓-대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우증권은 30일 한솔제지에 대해 산업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만6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하향조정했다. 단기매수 투자의견은 유지.
유정현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개선됐던 제지업황은 9월부터 본격적인 침체기로 접어들었다"며 "특히 그동안 큰 폭으로 감소했던 제품 재고가 9월부터 전년동월비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4분기 현재 성수기 효과가 전무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품가격도 올해 6월 최고 톤당 120만원에서 103만원까지 14% 하락하며 기존 예상 보다 산업 경기 하강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내년 4월부터 무림 P&P의 신규 설비가 가동됨에 따라 당분간 제지업 경기의 하강 속도는 가속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유 애널리스트의 판단이다.
자회사인 한솔건설이 지난 10월 28일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에 워크아웃 절차를 신청했으며 채권은행의 최종 승인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그는 "한솔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은 모기업인 한솔제지가 더 이상 부실 자회사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으려는 긍정적인 취지에서 비롯됐으나 채권단이 회사측의 일방적인 워크아웃 신청을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어, 한솔제지는 한솔건설의 모기업으로서 100%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이라고 진단했다.
한솔건설의 3분기말 장부가치는 229억원이나 한솔제지가 동이 자회사를 직간접적으로 100%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주거래은행의 워크아웃 승인 거부 시 실제 한솔제지가 입게 될 지분 가치의 피해는 약 460억원이라고 대우증권은 추정했다.
유 애널리스트는 "만약 채권단의 요구로 출자가 진행될 경우, 기업가치 훼손 규모는 더욱 커질 가능성도 존재한다(참고로 3분기말 PF를 포함한 한솔건설 부채는 약 2100억원으로 추정됨)"며 "최근 주가 급락으로 자회사 지원 우려가 충분히 반영됐다고 판단되나 최종 결론이 나올 때까지 주가는 남은 불확실성을 감안한 의미없는 등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유정현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개선됐던 제지업황은 9월부터 본격적인 침체기로 접어들었다"며 "특히 그동안 큰 폭으로 감소했던 제품 재고가 9월부터 전년동월비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4분기 현재 성수기 효과가 전무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품가격도 올해 6월 최고 톤당 120만원에서 103만원까지 14% 하락하며 기존 예상 보다 산업 경기 하강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내년 4월부터 무림 P&P의 신규 설비가 가동됨에 따라 당분간 제지업 경기의 하강 속도는 가속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유 애널리스트의 판단이다.
자회사인 한솔건설이 지난 10월 28일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에 워크아웃 절차를 신청했으며 채권은행의 최종 승인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그는 "한솔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은 모기업인 한솔제지가 더 이상 부실 자회사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으려는 긍정적인 취지에서 비롯됐으나 채권단이 회사측의 일방적인 워크아웃 신청을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어, 한솔제지는 한솔건설의 모기업으로서 100%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이라고 진단했다.
한솔건설의 3분기말 장부가치는 229억원이나 한솔제지가 동이 자회사를 직간접적으로 100%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주거래은행의 워크아웃 승인 거부 시 실제 한솔제지가 입게 될 지분 가치의 피해는 약 460억원이라고 대우증권은 추정했다.
유 애널리스트는 "만약 채권단의 요구로 출자가 진행될 경우, 기업가치 훼손 규모는 더욱 커질 가능성도 존재한다(참고로 3분기말 PF를 포함한 한솔건설 부채는 약 2100억원으로 추정됨)"며 "최근 주가 급락으로 자회사 지원 우려가 충분히 반영됐다고 판단되나 최종 결론이 나올 때까지 주가는 남은 불확실성을 감안한 의미없는 등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