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전문가들은 1일 오후 종료된 서해 한 · 미 연합훈련에 대해 "한 · 미 동맹을 통해 북한에 분명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동시에 서해상에서의 실전 능력이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북한을 압박하는 효과도 컸지만 연합훈련 이후 우리 군의 독자적인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 당장의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는 서해 훈련 이후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연말 또는 내년 초에 해상 연합훈련을 추가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연평도에 방어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대공 미사일인'천마'를 긴급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 미 양국군은 이날 이동 중인 함정에 군수물자를 공급하는 기동군수훈련과 함께 조지워싱턴함이 다양한 형태의 공격을 방어하면서 서해를 빠져나가도록 유도하는 경계 작전훈련을 끝으로 나흘간의 훈련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연합훈련의 성과에 대해 합참 관계자는 "한 · 미 연합 · 합동전력이 유사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방어준비 태세를 향상시키고 상호작전 운용 능력과 연합작전 수행 능력을 발전시켰다"고 말했다.

군 내에선 6 · 25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전력으로 북을 압박했다고 자평하면서 이를 계기로 기존의 방어적인 전략 개념이 아닌 보다 능동적이고 공세적인 군의 대응 태세가 이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은 여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대북감시 태세인 '워치콘'을 2단계로 하는 등 대비 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합참은 또한 오는 6~10일 동 · 서 · 남해 29곳에서 해상 사격훈련을 재개하고 민간 선박에 '항해 경보'를 발령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군사적 조치와 더불어 북한으로의 현금 유입을 막을 추가 방안이 한 · 미 정부 사이에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방 · 안보 전문가들은 "이번 훈련이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억제력을 과시했지만 이전보다 군사적 충돌이 한층 더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시기를 재조정하고 첨단 감시 자산을 자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7월 한 · 미 정상이 합의한 전작권 전환 시점 연기(2012년 4월→2015년 12월1일)에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