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유열이 현재 가수들의 처우와 관련해 “부당한 비율”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는 가수의 음원 판매 수익 구조 문제와 불공정 전속 계약 등에 대한 ‘음악실연자의 불공정한 지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진행됐다.

이날 대한가수협회 부회장이자 가수를 대표해 참석한 유열은 “‘대학가요제’ 이후 25년간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삶의 절반을 가수의 길을 걸어왔다”라고 운을 뗐다.

유열은 “음악실연자의 지위와 문제점의 주요 내용을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법적으로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보이나 실질적인 측면에서 실연자들(가수 연주자 지휘자)을 초라하게 한다. 보상금 등이 제작자, 저작권자에 비해 열악하고 턱없이 적다”라고 아쉬운 현실을 지적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는 음악에 대한 저작 권리 비율이 실연자가 1, 저작자(작사 작곡 편곡자)가 2, 음악 제작자가 7로 돼있다”면서 “물론 제작자들이 돈을 투자해 잘돼는 음반을 만들기까지 어려운 것은 안다. 그러나 그 음악이 인기를 모으기 까지 실연자들의 노력 또한 적지 않다”라고 말했다.

유열은 “비단 리메이크 앨범을 만든다고 했을 때, 히트곡을 다시 부르기도 하기만 잘 알려지지 않았던 곡을 다시금 불러 인기를 모으게 하기도 한다. 실연자들의 역할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라면서 “음악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이 적지 않은 만큼, 선진국처럼 5: 5는 아니더라도 3: 3: 3정도는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작금의 실연자에 대한 처우를 보면 무시당하고 있는 느낌이다. 이런 상황이 되기 전 협상력을 발휘해 좋은 환경을 마련했어야 하는데 한국가수협회도 이제 4년이 됐을 정도로 열악했다”면서 “연기자들이 재방송을 통해 연 200억 이상을 징수하는 반면, 가수들에 대한 수익 권리가 없다. 보다 빨리 문제 해결이돼 대중문화의 꽃다운 현실이 마련되는 것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이재오 특임장관을 비롯해 박선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대한가수협회 회장 태진아 등이 참석했으며, 유니온캔 대표 강승호, 가수 유열, 각 대학 교수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한경닷컴 김명신 기자 s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