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생물 표본 겨우 1만종… AP-BON설립 서둘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한반도 자생생물로 기록된 3만여종 중 표본이 확보된 종(種)은 3분의 1인 1만여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유전자원확보 경쟁에 빨간불이 켜졌다.기록이 있어도 표본이 없다면 생물유전자원 주권 경쟁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3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현재 10만여종으로 추정되는 국내 자생생물 중 3만여종에 대한 기록이 있다.하지만 3만종 중 확증표본이 있는 생물은 1만여종에 불과하다.확증표본은 학술연구에서 증거로 제시된 표본으로 국제적으로 자생생물종에 대한 소유권 주장의 근거로 활용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지난해 7820종,올해 2500종 등 1만종 확보했으며 내년까지 1만6000종을 보유하는 게 목표다.길현종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 연구관은 “나고야 의정서 합의 이후 작업을 서두르라는 지시가 내려와 속도를 내고 있지만 표본 확보가 여의치 않아 2015년은 돼야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기존에 제작된 표본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병윤 고등식물연구과 연구관은 “국내 박물관이 대부분 전시위주여서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이 설립되기 전에는 별다른 수장고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표본확보와 함께 모니터링 활동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표본생물이 실제로 어디에 얼마나 서식하고 있는지 알아야 실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현재는 멸종위기종 221종을 모니터링하는 게 전부다.박정미 고등식물연구과 연구관은 “자원관의 연구직 인력 60명으로 일반 생물종에 대한 모니터링은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BON)’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이는 2007년 설립된 단체로 희귀종과 함께 일반종을 대상으로 ‘종의 유무’,‘종 풍부도’ 등과 같은 생물다양성 정보를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지난해 일본 주도로 ‘아-태 지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AP-BON)’가 설립됐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다.지난 5월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에서 AP-BON 협력사업 진행키로 했지만 6개월 넘게 진행이 지지부진하다.권오석 경북대 교수(농업생명과학)는 “정부가 국내 모든 자생생물의 서식현황을 파악할 수는 없다”며 “민관합동 모델인 AP-BON참여를 서둘러 일반종 모니터링 및 표본 수집활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3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현재 10만여종으로 추정되는 국내 자생생물 중 3만여종에 대한 기록이 있다.하지만 3만종 중 확증표본이 있는 생물은 1만여종에 불과하다.확증표본은 학술연구에서 증거로 제시된 표본으로 국제적으로 자생생물종에 대한 소유권 주장의 근거로 활용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지난해 7820종,올해 2500종 등 1만종 확보했으며 내년까지 1만6000종을 보유하는 게 목표다.길현종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 연구관은 “나고야 의정서 합의 이후 작업을 서두르라는 지시가 내려와 속도를 내고 있지만 표본 확보가 여의치 않아 2015년은 돼야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기존에 제작된 표본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병윤 고등식물연구과 연구관은 “국내 박물관이 대부분 전시위주여서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이 설립되기 전에는 별다른 수장고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표본확보와 함께 모니터링 활동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표본생물이 실제로 어디에 얼마나 서식하고 있는지 알아야 실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현재는 멸종위기종 221종을 모니터링하는 게 전부다.박정미 고등식물연구과 연구관은 “자원관의 연구직 인력 60명으로 일반 생물종에 대한 모니터링은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BON)’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이는 2007년 설립된 단체로 희귀종과 함께 일반종을 대상으로 ‘종의 유무’,‘종 풍부도’ 등과 같은 생물다양성 정보를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지난해 일본 주도로 ‘아-태 지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AP-BON)’가 설립됐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다.지난 5월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에서 AP-BON 협력사업 진행키로 했지만 6개월 넘게 진행이 지지부진하다.권오석 경북대 교수(농업생명과학)는 “정부가 국내 모든 자생생물의 서식현황을 파악할 수는 없다”며 “민관합동 모델인 AP-BON참여를 서둘러 일반종 모니터링 및 표본 수집활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