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건실한 재정 운용으로 2015년에 국가 채무비율이 24% 수준까지 떨어져 국제통화기금(IMF) 선진국 가운데 세 번째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 재정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1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는 23.9%로 IMF 29개 선진국 가운데 홍콩(0.5%), 호주(21.3%)에 이어 가장 좋을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올해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32.1%로전망돼 불과 5년 사이에 국가채무비율이 8.2% 포인트나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15년 IMF 선진국의 국가채무비율 평균은 108.2%, 주요 20개국(G20) 평균은 81.4%, 선진 7개국(G7) 평균은 122.5%로 추산됐다. 한국에 이어서는 스웨덴(28.3%), 뉴질랜드(33.3%), 슬로베니아(35.7%), 스위스(35.9%)가 양호할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일본은 2015년에 국가채무비율이 249.1%에 달하고 그리스(133.9%), 벨기에(108.2%), 아일랜드(113.9%), 이탈리아(118.8%), 미국(110.7%)도 심각한 재정난을 겪을 것으로 우려됐다. IMF는 올해 한국의 국가 채무비율이 32.1%로 지난해의 32.6%보다 0.5% 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봤다. 올해 한국의 국가채무 비율은 IMF 선진국 가운데 홍콩(0.6%), 호주(21.9%), 뉴질랜드(31.0%)에 이어 네번째로 양호할 것으로 예상됐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