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비정규직 농성 풀어…사측 "교섭 아닌 대화 응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손배 해결ㆍ고용보장 등 조건
현대자동차 사내 하도급 비정규직 노조가 25일간에 걸친 현대차 울산1공장 점거를 끝내고 자진해서 나왔다. 비정규직 노조는 9일 이경훈 현대차 노조위원장(정규직)과 박유기 금속노조 위원장이 회사 측과 교섭에 나서는 것을 전제로 농성을 풀었다고 밝혔다.
3자 대표회의에서 결정된 의제는 △농성장의 비정규직 고소 · 고발,손해배상 등 해결 △농성자 고용 보장 △비정규직 지회 지도부의 신변 보장 △불법파견 교섭에 대한 대책 요구 등 4가지다. 비정규직 노조의 점거파업이 협상 국면으로 전환되긴 했지만 사측이 정규직 전환 등에 대해 부정적이어서 향후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현대차 사측은 임단협상 교섭 대상이 아닌 비정규직 노조와 만나기 어렵고 교섭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간 대화의 장에는 일단 나가기로 했다. 대화에는 강호돈 현대차 대표이사 부사장과 사내 하도급업체 대표,이 위원장,이상수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 지회장,박 위원장 등 5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양측은 고소 · 고발과 손해배상소송 철회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지만 조기에 타결될지는 미지수다. 현대차 측은 고소 · 고발과 손배소송을 원칙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점거 농성에 참여했던 조합원 500여명(노조 주장)에 대해 16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해놓고 있다. 점거농성 주동자급에서는 이미 16명에게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최대 쟁점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화를 놓고도 양측 간 갈등이 예상된다. 현대차는 노조가 요구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요구와 관련,법적 절차를 모두 밟은 뒤 대책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 직원처럼 사실상 고용해왔다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논의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해왔다.
비정규직 노조 측도 이날 성명을 통해 "농성 해제는 새로운 시작"이라며 "금속노조와 현대차 노조가 함께 공동투쟁으로 풀어간다"고 주장해 향후 협상도 산 넘어 산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교섭의제는 하나씩 풀어갈 것"이라며 "정규직 노조가 할 수 있는 일은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에서는 직접적 고용관계가 없는 비정규 노조까지 가세해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막가파식 산업시설 점거파업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3자 대표회의에서 결정된 의제는 △농성장의 비정규직 고소 · 고발,손해배상 등 해결 △농성자 고용 보장 △비정규직 지회 지도부의 신변 보장 △불법파견 교섭에 대한 대책 요구 등 4가지다. 비정규직 노조의 점거파업이 협상 국면으로 전환되긴 했지만 사측이 정규직 전환 등에 대해 부정적이어서 향후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현대차 사측은 임단협상 교섭 대상이 아닌 비정규직 노조와 만나기 어렵고 교섭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간 대화의 장에는 일단 나가기로 했다. 대화에는 강호돈 현대차 대표이사 부사장과 사내 하도급업체 대표,이 위원장,이상수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 지회장,박 위원장 등 5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양측은 고소 · 고발과 손해배상소송 철회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지만 조기에 타결될지는 미지수다. 현대차 측은 고소 · 고발과 손배소송을 원칙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점거 농성에 참여했던 조합원 500여명(노조 주장)에 대해 16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해놓고 있다. 점거농성 주동자급에서는 이미 16명에게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최대 쟁점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화를 놓고도 양측 간 갈등이 예상된다. 현대차는 노조가 요구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요구와 관련,법적 절차를 모두 밟은 뒤 대책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 직원처럼 사실상 고용해왔다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논의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해왔다.
비정규직 노조 측도 이날 성명을 통해 "농성 해제는 새로운 시작"이라며 "금속노조와 현대차 노조가 함께 공동투쟁으로 풀어간다"고 주장해 향후 협상도 산 넘어 산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교섭의제는 하나씩 풀어갈 것"이라며 "정규직 노조가 할 수 있는 일은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에서는 직접적 고용관계가 없는 비정규 노조까지 가세해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막가파식 산업시설 점거파업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