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임금 산업 갈 곳이 없다] 中서 밀려난 봉제산업, 동남아서도 임금인상ㆍ파업 시달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업체, 미얀마ㆍ베트남 진출…인력부족ㆍ임금인상 부추겨
"시위하면 임금 올려주더라"…전문 파업꾼까지 등장
"시위하면 임금 올려주더라"…전문 파업꾼까지 등장
방글라데시는 아시아에서 임금이 가장 낮은 나라다. 인도네시아의 절반 수준이고,중국 해안 지역에 비해서는 4분의 1에 불과하다. 캄보디아도 방글라데시보다 1.5배가량 임금이 비싸다. '영원무역 사태'에 한국 기업인들이 촉각을 세우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임금 인상이 동 · 서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이 자국 인건비가 올라가자 주변국으로 공장을 옮기면서 인력 구하기 경쟁에 불을 붙인 것이 주요 원인이다.
◆아시아 임금 인상 '도미노'
미얀마 양곤에 있는 신발 제조업체 J글로벌의 P사장은 최근 미얀마 내 공장 증축을 취소했다. 올해 임금이 전년 대비 10% 이상 치솟으면서 더 이상 인원을 늘리기가 부담스럽게 됐다는 판단에서다. P대표는 "양곤을 벗어난 외곽지역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를 모두 고려대상에 넣고 공장부지를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J글로벌은 1990년 중국에 진출한 데 이어 2000년 미얀마에도 생산라인을 마련했다. 다른 국가에 라인을 구축한다면 세 번째 해외진출이 된다. P사장은 "10년 주기로 다른 지역을 찾아 옮기게 되는 셈인데,공장을 철수하고 새로 짓는 데 드는 비용으로만 몇 년간 영업이익을 고스란히 날려야 할 판"이라며 "다른 사업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베트남도 마찬가지다. 기업들은 갈수록 호찌민시 외곽으로 공장을 이전해야 할 처지다. 섬유산업연합회 관계자는 "호찌민은 잦은 파업으로 고용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며 "보통 설날을 전후해 과격 노조에 의해 불법 파업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현지 진출 기업들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들이 임금 인상 '주도'
연쇄적으로 임금이 올라가는 근본적인 이유는 노동력 수급 불균형에 있다. 복덕규 KOTRA 아대양주팀 차장은 "다카(방글라데시),호찌민(베트남),자카르타(인도네시아) 등 동 · 서남아시아 주요 도시의 물가 상승률이 워낙 가팔라 지방에서 올라온 근로자들이 정착을 못하고 되돌아가면서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비해 인력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7~10월 의류 수출은 총 68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가량 증가했다. 김삼식 KOTRA 방글라데시 센터장은 "중국은 말할 것도 없고 터키,스리랑카,캄보디아 등까지 임금이 오르자 글로벌 의류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하고자 방글라데시로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황색 돌풍'은 동 · 서남아시아 곳곳에서 인력 부족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미얀마 양곤에서 봉제업을 하고 있는 D사 사장은 "중국,홍콩,대만 기업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인력 수급이 기업마다 큰 화두로 떠올랐다"며 "라인을 증설해야 하지만 인원 부족으로 공장끼리 인력을 빼가는 일도 다반사"라고 전했다. 방글라데시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인도를 제치고 미국에 이어 방글라데시의 제2 교역 파트너로 발돋움했다.
◆한국 기업들 '어디로 가나'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고민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최종 구매자인 월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지속적으로 최저가를 요구하고 있는 데 비해,현지 임금은 계속 올라가면서 사면초가에 빠진 것이다. 이런 처지는 파업이 발생했을 때 기업의 협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복 차장은 "빨리 물건을 넘겨야 한다는 생각에 성급하게 분규를 마무리지으면서 현지 근로자들에게 잘못된 학습 효과를 심어주고 있다"며 "이 점을 전문 파업꾼들이 파고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네시아에서 노무관리 전문가로 활약 중인 방치영 전 LG전자 노무담당 부장은 "이 같은 딜레마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은 공장 자동화 비중을 높이거나 노무관리를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휘/남윤선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