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ㆍ경남지역 야4당과 시민환경단체가 낙동강 식수 보전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섰다.

양 지역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대표와 4대강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 낙동강지키기 부산운동본부 관계자 등 40여명은 13일 경남발전연구원 1층 세미나실에서 '부산경남 낙동강 식수 대책 공동 회의'를 열었다.

김두관 경남지사와 강병기 정무부지사, 경남도 공무원 10여명도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부산과 경남은 행정구역은 나눠져 있지만, 경제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하나"라며 "낙동강을 사랑하고 맑은 물을 지키는데 부산과 경남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낙동강 사업권 회수 후 공사에 속도감을 내면서 심각한 비산먼지와 수질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며 "낙동강 식수는 주민의 생명권ㆍ건강권과 직결되는 만큼 당정회의에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부산시당 최인호 위원장과 국민참여당 부산시당 고창권 위원장 등은 "부산 식수를 공급하는 낙동강 매리 취수장과 인접한 지점에서 다량의 불법 폐기물이 나와 침출수가 유입되면서 부산시민의 94%가 먹는 식수의 오염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경남도는 폐기물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 오염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이들은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부산시의 소극적이고 안일한 식수 대책을 거세게 비판했다.

민주당 경남도당 백두현 위원장은 "부산과 경남이 힘을 합쳐 낙동강 식수를 지켜 나가자"며 "양 지역 야권과 환경단체 등이 연대하는 상설 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4대강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 차윤재 공동 대표는 "낙동강 공사 구간의 환경 오염과 불법 행위 등을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주민 환경감시단을 조직할 것"을 제안했다.

또 낙동강지키기 부산운동본부 최수영 공동 집행위원장은 "경남도가 깨끗하고 안전한 낙동강 상수원의 확보와 관리를 위한 활동을 함께 펼칠 것을 부산시 측에 공식 제안해 달라"고 부탁했다.

토론 내용을 청취한 김 지사는 "부산시에 대한 공동 활동 제안 등 오늘 제기된 의견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ym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