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해저터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다밑에 터널을 뚫어 왕래하자는 구상은 19세기 초 처음 나왔다. 프랑스의 한 광산기술자가 도버해협에 해저터널을 만들어 말들이 끄는 수레가 다닐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등불로 터널안을 밝히고,중간에 인공섬을 조성해 지친 말들을 바꾸며,바다 위로 굴뚝을 내 환기를 하자는 등의 내용이었으나 얼마 안돼 묻히고 말았다. 19세기 후반엔 지질조사를 거쳐 영국 1891m,프랑스 1838m의 시굴갱까지 파다가 반대의견이 심해 중단됐다.
영불해저터널 공사가 제대로 시작된 때는 1987년 말이다. 3년여의 공사 끝에 영국 포크스턴과 프랑스 칼레를 연결하는 총 길이 49.94㎞,물밑 구간 38㎞의 터널이 1990년 10월 뚫렸다. 1994년 5월엔 터널을 통해 런던에서 파리까지 3시간에 주파하는 특급열차 '유로스타'가 개통됐다. 여객열차전용,화물차와 승용차를 실어나르는 셔틀 열차용,환기 · 예비용 등 3개의 터널로 구성돼 있다.
일본은 혼슈의 아오모리와 홋카이도의 하코다테를 연결하는 세이칸 해저터널을 1988년 뚫었다. 전체 터널 길이가 54㎞로 세계 최장이지만 물밑 구간만 따지면 23㎞로 영불터널보다 짧다. 지진이 발생해도 터널 주변 암석과 흙이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됐다고 한다. 현재 해저터널이 있는 나라는 영국 프랑스 일본을 포함해 10여 개에 불과하다.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로의 가덕해저터널이 개통됐다. 해저구간은 가덕도~대죽도 사이 3.7㎞다.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라앉혀 묻는 방식을 썼다고 해서 침매(沈埋) 터널로 불린다. 구조물은 길이 180m,너비 26.5m,높이 9.75m로 무게만 4만5000t에 이른다. 이런 구조물 18개를 해저 48m에 연결해 왕복 4차선 도로를 만들었다고 한다. 난공사에 성공했지만 앞으로도 철저한 점검과 세심한 관리가 뒤따라야 할 일이다. 혹 터널에 이상이 생기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해저터널은 일단 뚫어 놓으면 효용성이 높다. 유로스타 이용객만 해도 연 900만명(2008년)이 넘는다고 한다. 이참에 아직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는 한 · 일 및 한 · 중 해저터널도 본격 검토해보면 어떨까. 시간을 갖고 연구하다 보면 천문학적인 공사비와 고도의 기술력 등의 난제를 해결할 방안이 나오지 말란 법도 없다. 어떤 경우에도 안전이 최우선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정환 논설위원 jhlee@hankyung.com
영불해저터널 공사가 제대로 시작된 때는 1987년 말이다. 3년여의 공사 끝에 영국 포크스턴과 프랑스 칼레를 연결하는 총 길이 49.94㎞,물밑 구간 38㎞의 터널이 1990년 10월 뚫렸다. 1994년 5월엔 터널을 통해 런던에서 파리까지 3시간에 주파하는 특급열차 '유로스타'가 개통됐다. 여객열차전용,화물차와 승용차를 실어나르는 셔틀 열차용,환기 · 예비용 등 3개의 터널로 구성돼 있다.
일본은 혼슈의 아오모리와 홋카이도의 하코다테를 연결하는 세이칸 해저터널을 1988년 뚫었다. 전체 터널 길이가 54㎞로 세계 최장이지만 물밑 구간만 따지면 23㎞로 영불터널보다 짧다. 지진이 발생해도 터널 주변 암석과 흙이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됐다고 한다. 현재 해저터널이 있는 나라는 영국 프랑스 일본을 포함해 10여 개에 불과하다.
부산과 거제를 잇는 거가대로의 가덕해저터널이 개통됐다. 해저구간은 가덕도~대죽도 사이 3.7㎞다.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라앉혀 묻는 방식을 썼다고 해서 침매(沈埋) 터널로 불린다. 구조물은 길이 180m,너비 26.5m,높이 9.75m로 무게만 4만5000t에 이른다. 이런 구조물 18개를 해저 48m에 연결해 왕복 4차선 도로를 만들었다고 한다. 난공사에 성공했지만 앞으로도 철저한 점검과 세심한 관리가 뒤따라야 할 일이다. 혹 터널에 이상이 생기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해저터널은 일단 뚫어 놓으면 효용성이 높다. 유로스타 이용객만 해도 연 900만명(2008년)이 넘는다고 한다. 이참에 아직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는 한 · 일 및 한 · 중 해저터널도 본격 검토해보면 어떨까. 시간을 갖고 연구하다 보면 천문학적인 공사비와 고도의 기술력 등의 난제를 해결할 방안이 나오지 말란 법도 없다. 어떤 경우에도 안전이 최우선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정환 논설위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