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대출계약서 대신 확인서…채권단 "법률 검토 후 대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양종금증권도 소명자료 제출
채권단 "15일 운영위 소집"
정치권 "소명 없으면 국정조사"
채권단 "15일 운영위 소집"
정치권 "소명 없으면 국정조사"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채권단에서 당초 요구한 프랑스 나티시스은행 예치금 1조2000억원에 대한 대출계약서 또는 구속력있는 텀 시트(term sheet · 세부 계약조건을 담은 문서)가 아닌 2차 대출확인서를 14일 오후 늦게 채권단에 제출했다. 동양종금증권도 이날 현대그룹과 맺은 풋백옵션 소명자료를 채권단에 냈다.
채권단은 입장 표명을 유보한 채 서류내용 확인 및 법률 검토에 들어갔다.
◆현대그룹,또다시 대출확인서 제출
현대그룹은 나티시스은행을 간신히 설득해 추가로 제2차 대출확인서를 발급받아 채권단에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제출한 1차 확인서는 채권단으로부터 소명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현대그룹은 발표문에서 "제2차 확인서를 통해 '이번 대출과 관련해 제3자가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한 사실이 없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확인했다"며 "그간 제기된 넥스젠 등 제3자에게 현대그룹 계열사 주식 또는 현대건설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보증하고,이를 바탕으로 넥스젠 등 제3자가 나티시스은행에 담보제공 또는 보증을 해 이번 대출이 현대상선 프랑스법인 앞으로 이뤄졌다는 의혹이 허위였음이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현대그룹은 "채권단의 대출계약서 및 그 부속서류 제출 요구는 법과 양해각서(MOU),입찰 규정에 위반된다"고 다시 지적한 뒤 "(채권단에서 요구한) 텀 시트는 이번 대출과 관련해 작성되거나 체결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동양종금증권은 현대상선과의 컨소시업 계약서 상에 풋백옵션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었는 지 등에 대해 "현대건설 인수와 관련된 어떤 내용도 비밀유지협약에 따라 밝힐 수 없다"고 언급을 피했다.
◆채권단,다음주 초 주주협의회 개최
현대그룹 채권단은 공식적으로 "제출 서류 및 법률 검토를 거친 뒤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현대건설 주주협의회(채권단) 주관사인 외환은행 관계자는"15일 중 우리은행,정책금융공사와 함께 주주협의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주주협의회는 다음주 초께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제출한 2차 확인서가 당초 채권단이 요구한 수준에는 못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채권단 사이에 다툼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기업인 정책금융공사와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은 의혹 해소 없이는 현대그룹과 매각 작업을 더이상 진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인 반면 외환은행은 MOU 해지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질 수도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이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와 관련,"이미 아무런 검증을 할 수 없다고 평가 내린 확인서를 다시 내놓는 것은 효력이 없을 뿐 아니라 채권단의 요구를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대출 과정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의혹만 더 부풀리고 있다"며 "채권단은 현대그룹과의 양해각서를 즉각 해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권,필요하면 국정조사 압박
한나라당 원내부대표인 김용태 의원은 이날 채권단이 현대그룹의 인수자금에 대한 소명을 받지 않고 본계약을 체결하면 국회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현대건설은 공적자금이 들어간 국민의 기업이고,주요 채권단 역시 막대한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국회가 개입할 여지는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정책위의장도 "총자산 33억원의 현대상선 프랑스법인이 담보나 보증 없이 어떻게 거액을 대출받았는지 해명해야 한다"며 "해명이 없다면 MOU를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수언/이태훈/박동휘 기자 sookim@hankyung.com
채권단은 입장 표명을 유보한 채 서류내용 확인 및 법률 검토에 들어갔다.
◆현대그룹,또다시 대출확인서 제출
현대그룹은 나티시스은행을 간신히 설득해 추가로 제2차 대출확인서를 발급받아 채권단에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제출한 1차 확인서는 채권단으로부터 소명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현대그룹은 발표문에서 "제2차 확인서를 통해 '이번 대출과 관련해 제3자가 담보를 제공하거나 보증한 사실이 없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확인했다"며 "그간 제기된 넥스젠 등 제3자에게 현대그룹 계열사 주식 또는 현대건설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보증하고,이를 바탕으로 넥스젠 등 제3자가 나티시스은행에 담보제공 또는 보증을 해 이번 대출이 현대상선 프랑스법인 앞으로 이뤄졌다는 의혹이 허위였음이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현대그룹은 "채권단의 대출계약서 및 그 부속서류 제출 요구는 법과 양해각서(MOU),입찰 규정에 위반된다"고 다시 지적한 뒤 "(채권단에서 요구한) 텀 시트는 이번 대출과 관련해 작성되거나 체결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동양종금증권은 현대상선과의 컨소시업 계약서 상에 풋백옵션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었는 지 등에 대해 "현대건설 인수와 관련된 어떤 내용도 비밀유지협약에 따라 밝힐 수 없다"고 언급을 피했다.
◆채권단,다음주 초 주주협의회 개최
현대그룹 채권단은 공식적으로 "제출 서류 및 법률 검토를 거친 뒤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현대건설 주주협의회(채권단) 주관사인 외환은행 관계자는"15일 중 우리은행,정책금융공사와 함께 주주협의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주주협의회는 다음주 초께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제출한 2차 확인서가 당초 채권단이 요구한 수준에는 못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채권단 사이에 다툼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기업인 정책금융공사와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은 의혹 해소 없이는 현대그룹과 매각 작업을 더이상 진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인 반면 외환은행은 MOU 해지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질 수도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이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와 관련,"이미 아무런 검증을 할 수 없다고 평가 내린 확인서를 다시 내놓는 것은 효력이 없을 뿐 아니라 채권단의 요구를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대출 과정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의혹만 더 부풀리고 있다"며 "채권단은 현대그룹과의 양해각서를 즉각 해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권,필요하면 국정조사 압박
한나라당 원내부대표인 김용태 의원은 이날 채권단이 현대그룹의 인수자금에 대한 소명을 받지 않고 본계약을 체결하면 국회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현대건설은 공적자금이 들어간 국민의 기업이고,주요 채권단 역시 막대한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국회가 개입할 여지는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정책위의장도 "총자산 33억원의 현대상선 프랑스법인이 담보나 보증 없이 어떻게 거액을 대출받았는지 해명해야 한다"며 "해명이 없다면 MOU를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수언/이태훈/박동휘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