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선 '강남ㆍ송파' 최다 낙찰…'수도권 소재 아파트' 최고 인기

올 한 해 빚을 갚지 못해 경매에 넘겨진 주택과 실제 낙찰된 주택 모두 작년보다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대법원에 따르면 올해 1∼11월 전국의 주택 4만1천843채가 경매에 부쳐져 77.6%인 3만2천474채가 낙찰됐다.

작년 같은 기간에는 주택 5만913채가 경매에 부쳐져 80.9%인 4만1천219채가 팔렸다.

올해 경매에 넘어간 주택은 작년보다 9천여채 감소하고 팔린 주택은 8천700여채 줄었으며 매각률은 3.3% 포인트 떨어졌다.

여기서 주택이란 아파트와 단독주택, 다가구와 다세대주택을 뜻하며 오피스텔은 포함되지 않는다.

대법원 관계자는 "올해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거래 자체가 얼어붙어 경매시장에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 것 같다"며 "주택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상태에서 경매에 부치면 자칫 채권을 온전히 회수하지 못해 채권자들도 경매에 넘기기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경매로 소유주가 바뀐 주택을 서울시내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255채로 가장 많고, 송파구 249채, 강서구 215채, 은평구 214채, 서초구 208채 순이었다.

하위권에서는 중구 36채, 금천구 71채, 광진구 72채, 종로구 75채, 용산구 83채 순으로 낙찰 주택이 적었다.

강남구 세부 통계에 따르면 도곡동 주택 56채가 경매에 넘겨졌으나 실제 낙찰된 주택은 39채였고, 역삼동에서 54채 중 42채가 팔렸으며 개포동 32채, 대치동 27채, 논현동과 청담동 각각 24채 등이었다.

주택 감정가 대비 매각가격의 비율(매각가율)은 마포구 88.8%, 성동구 88.7%, 강남구 83.1%, 송파구 80.7% 등 서울지역은 대부분 80%를 웃돌았고 광진구가 76.6%로 가장 낮았다.

올해 전체 낙찰 주택의 매각가율은 78.6%를 기록했다.

한편 경매에 대한 관심은 계속 높아져 올해 12만5천명이 법원 경매정보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했으며 전체 회원 수는 42만5천명까지 늘었다.

회원들이 관심 물건으로 가장 많이 등록한 경매물건의 조건은 지역상 서울ㆍ경기, 용도는 아파트가 55%를 차지했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