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ㆍ문화부 업무보고] 수능연계 EBS 교재수 축소…국가과학기술委 4월 출범
취업률,재정 건전성,국제화 역량이 우수한 전문대 20곳이 세계적 수준의 '자율형 사립대'로 집중 육성된다. 4년제 대학(원) 중에서 2015년까지 세계 30위권의 초일류 대학(원)을 배출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중1 · 고1학년 교과 과목수 및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연계된 EBS 교재 수를 대폭 줄여 학생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7일 청와대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11년 새해 업무계획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교과부는 △창의 · 인성교육 강화 △교육과 일자리 연계 △잘 가르치는 대학 육성 △세계적 과학기술인재 육성 △전략적 국가 연구 · 개발(R&D) 체제 구축 △교육과학기술 글로벌화를 6대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전문대 20개 · 4년제대 10개 집중 육성

[교과부ㆍ문화부 업무보고] 수능연계 EBS 교재수 축소…국가과학기술委 4월 출범
취업역량 등이 뛰어난 상위 20개 전문대를 세계 수준의 전문대(WCC · World Class College)로 키우는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선정된 대학은 정원외 모집과 교원충원율 등에서 자율성을 부여받는다. 이들 대학에는 자율적으로 처분할 수 있는 법인 재산 한도도 5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늘려주기로 했다.

또 특정 교육과정을 마친 전문대생에게 자동으로 국가자격을 주는 시스템도 시범 도입된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전문대는 업그레이드시키는 것과 동시에 구조조정도 해야 한다"며 "세계적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전문대를 골라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4년제 대학 및 대학원 중에서는 2015년까지 세계 30위권의 초일류 대학(원) 3곳을 포함해 200위권 대학원 중심대학 10곳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석사 중심의 현행 대학원 운영체제를 박사과정 위주로 개편키로 했다. 우수 대학을 중심으로 석 · 박사 통합과정을 확대,학부 졸업 후 박사학위 취득기간을 7년에서 5년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맞춤형 수업 · 학교영어 교육 강화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내년부터 중1 · 고1학년의 교과 과목 수가 10~13개에서 8개로 대폭 줄어든다. 또 맞춤형 수업을 하는 '교과 교실제' 적용 학교를 올해 806개교에서 내년에는 1000개교로 확대하기로 했다. 과열경쟁을 막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의 현행 9등급 상대평가제를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이 장관은 "다음 주 학생부 평가방식 개선 공론화를 위한 공개토론회를 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 교사가 담당 교과수업에만 매진할 수 있도록 1500명의 진로 · 진학상담교사를 공 · 사립 고교에 배치하기로 했다. 2014년에는 모든 중 · 고교에 상담교사가 상주하게 된다. 영어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교 영어교육도 강화된다. 임승빈 미래인재정책관은 "학교에서 실용영어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고 수준별 방과후 영어교실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능시험 부담 완화

올해 수능시험에서 제기된 EBS 교재와의 연계 출제 논란과 관련,내년에는 연계 대상 교재 수를 크게 줄이고 연계 방식도 개선하는 등 수험생 부담 완화 방안을 내년 초까지 내놓기로 했다.

형식적으로만 입학사정관제를 운영하는 대학에 재정 지원을 중단하는 등 제재를 강화키로 했다. 이 장관은 "무늬만 입학사정관제는 안된다"며 "제도를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대학에는 각종 재정지원을 끊는 등 엄중한 제재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특정분야의 명장(마이스터)을 육성하는 마이스터고를 취업선도 모델 학교로 정착시키기로 했다. 마이스터고와 기업 간 학생 채용약정도 내년 80%,2012년 10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성화고(옛 전문계고)를 취업중심의 '명품 직업학교'로 키우기 위해 학생 전원(26만여명)에게 장학금을 주기로 했다.

◆과학기술인재 양성

과학기술 부문에서 교과부는 초 · 중등학교에서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교육을 융합형으로 가르치는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matics)' 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첨단과학시설 등 체험 탐구활동을 강화해 수학 · 과학 교육과정 개편에 적극 반영하고 기술 · 공학 과목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교과부는 또 14조여원에 달하는 범부처 연구 · 개발(R&D) 자금에 대한 배분을 조정하고 평가할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내년 4월 안으로 출범키로 했다.

이건호/이해성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