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위기관리대책회의가 어제 회의를 끝으로 내년 1월부터 원래 명칭인 경제정책조정회의로 환원된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국제 유가가 폭등했던 2008년 7월10일 1차 회의를 한 이후 2년 5개월여 만이다.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던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지난 9월 '비상'자를 떼고 국민경제대책회의로 전환한 데 이어 위기관리대책회의도 정상화시킴에 따라 정책운용 기조의 근간을 이뤘던 '위기 모드'에서 벗어났음을 공식화한 셈이다.

올해 6%를 넘는 빠른 성장 속도를 감안하면 위기나 비상이라는 이름을 내려놓는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보인다. 위기 극복을 위해 비정상적으로 확대하거나 공격적으로 운용했던 재정과 금융정책을 달라진 경제 여건에 맞춰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유럽의 재정위기 재연 가능성과 선진국의 더딘 경기회복,다시 뛰기 시작하는 국제유가 외에도 통제하기 어려운 북한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어 위기 의식마저 버려서는 안된다. 우리 경제가 어떤 불확실한 요인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위기탐지 및 신속대응 체제는 더욱 강화해야 한다.

위기의 끝은 또 다른 위기의 시작이 된다는 것이 세계 경제의 역사적 교훈이다. 우리 경제도 또 다른 위기의 포로가 되지 않기 위해 위기 모드를 구축했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 대통령이 2009년 1월8일 첫 번째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면서 밝혔던 의지와 각오를 전 부처는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한다. 당시 이 대통령은 경제 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는데 1분1초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투자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기위해 모든 분야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최근의 경제상황을 보면 빠른 회복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투자 전망은 밝지 않고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서민과 중산층은 경제 회복의 온기를 충분히 누리지도 못하는데 인플레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다. 대외 환경이 다시 악화되면 우리 경제는 또다시 주저앉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위기와 비상이라는 간판은 내렸지만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각오는 더욱 비상해져야 한다.